ADVERTISEMENT

반일·혐한 불러온 '수출규제' 그 후 …한·일 국민정서는 3년째 '상승세'

중앙일보

입력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사실상 파탄에 이른 한·일 국민 정서가 점차 회복되는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 늘고 부정 줄고…한·일 인식 변화  

1일 동아시아연구원(EAI)과 일본 싱크탱크인 ‘겐론 NPO’가 공동으로 발표한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응답자 중 일본에 좋은 인상을 갖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30.6%로 집계됐다. 일본에 부정적 인상을 갖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52.8%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여전히 비호감이 더 크지만, 2020년을 기점으로 긍정 인상이 늘고 부정 인상은 줄어드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실제 2020년 일본에 대한 긍정 인상 비율은 12.3%에 불과했지만 2021년 20.5%에 이어 올해 30%를 넘겼다. 반대로 부정 인상 비율은 71.6%(2020년)에서 63.2%(2021년)로, 이후 올해는 50%대에 진입했다.

일본인 역시 2020년 25.9%였던 긍정 평가 비율이 올해 30.4%로 4.5%포인트 늘었고, 부정 평가 비율은 같은 기간 46.3%에서 40.3%로 줄었다. 좋은 인상을 가진 이유로는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63.8%가 일본의 친절하고 성실한 국민성을 높이 평가했다. 일본인 응답자는 한국의 대중문화(44.7%)와 식(食)문화(43.4%)를 그 이유로 꼽았다.

손열 동아시아연구원장은 1일 한일 인식조사 브리핑에서 2020년 이후 3년째 양국 국민이 상대국을 긍정 평가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경록 기자

손열 동아시아연구원장은 1일 한일 인식조사 브리핑에서 2020년 이후 3년째 양국 국민이 상대국을 긍정 평가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경록 기자

손열 동아시아연구원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번 조사에서 드러난 중요한 의미는 한·일 양국 모두 공히 상대국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호전되고 있다는 점”이라며 “이같은 호감도 상승 및 비호감도 하락 추세가 2022년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기 위해선 정부 정책이 민심을 좇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 '낙제점', 개선 필요성엔 '공감'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현재의 한·일 관계에 대한 평가는 양 국민 모두 부정 평가가 많았다.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양국 관계가 좋다(매우 좋다+약간 좋다)고 답한 비율이 4.9%에 불과한 반면, 나쁘다(매우 나쁘다+약간 나쁘다)는 응답은 64.6%에 달했다. 일본인 응답자 역시 양국 관계가 좋다고 답한 응답(13.7%)보다 나쁘다고 답한 응답(39.8%)이 3배 가량 많았다.

구도 야스시(工藤泰志) 겐론 NPO 대표는 “한·일 간 인상 평가는 개선됐는데, 한·일 관계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인 것은 국민 감정이 변하고 있음에도 한·일 정부 간에 (관계 개선을 위한) 움직임이 부족하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일 정부가 움직이지 않고 교류도 없는데 국민 감정이 (긍정적으로) 바뀐 것은 미·중 대립을 포함한 국제관계 변화의 영향”이라며 “중국에 대한 경계심을 통해 한·일이 상대국에 대한 감정의 간극을 좁히고 있고, ‘민주주의’라는 상호 공통의 가치가 한·일을 맺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일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선 양 국민 모두 지지를 보냈다. 악화된 한·일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한국인 응답자가 81.1%, 일본인 응답자는 53.4%로 집계됐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월 취임 이후 핵심 외교 과제로 한·일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역시 이에 호응하는 움직임이 상당한 국민적 지지를 받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뇌관은 '과거사', 강제징용 해법 온도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관계 개선을 위한 선결 과제로는 ‘역사 문제’(한국인 65.9%, 일본인 66.3%)와 ‘독도 문제’(한국인 61.3%, 일본인 45.5%) 해결이 지목됐다. 다만 대표적인 과거사 현안인 강제징용 문제의 해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한국인 응답자의 경우 2018년 대법원 판결에 따른 일본 기업의 배상 및 현재 대법원에 심리중인 현금화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36.5%로 가장 많았다. 일본인 응답자의 경우 사법부 판결에 따른 해결을 지지하는 비율은 3.6%에 불과했다.

오히려 한국 사법부 판결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과 배치된다는 점에서 일본 기업이 따를 필요가 없다고 보는 의견이 30.6%로 집계됐다. 한국인은 사법 정의 실현을 원하는 반면, 일본인은 일본 기업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대법원 판결을 인정하지 않는 입장 차가 선명하게 드러났다.

이번 한·일 인식조사는 한국에선 EAI 의뢰로 한국리서치가 7월 21일~8월 8일까지, 일본 측은 겐론 NPO 의뢰로 여론과학협회가 7월 23일~8월 14일까지 각각 성인남녀 1028명과 1000명을 상대로 조사(최대허용 표집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