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은 빅스텝 역부족, 원화가치 13년 만에 최저치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797호 03면

15일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가치는 전날보다 14원 내린 1326.1원에 마감했다. [연합뉴스]

15일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가치는 전날보다 14원 내린 1326.1원에 마감했다. [연합뉴스]

글로벌 달러화가 초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원화가치가 또 다시 전저점 아래로 하락했다. 한국은행의 사상 첫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도 원화가치 하락(환율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로 치솟고, 기준금리는 2%대로 올라선 가운데 고환율까지 겹치면서 경기 침체 속도가 빨라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 가치는 전날보다 14원 내린(환율 상승) 달러당 1326.1원에 장을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12일(달러당 1312.1원) 이후 연저점을 갈아치웠다. 원화가치가 달러당 1320원보다 약세를 보인 건 2009년 4월 29일(달러당 1340.7원) 이후 13년 2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318원에 거래를 시작, 장중에는 1326.7원까지 밀리기도 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경기 침체의 초입 국면임에도 (원·달러) 환율이 1320원대를 뚫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부동산 시장 폭락 등 최악의 상황이 더 남은 만큼 1400원대 환율까지 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날 외환시장은 간밤에 발표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에 반응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6월 PPI가 전년 동월 대비 11.3%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3월(11.6%)에 육박한 수치다. 소비자물가의 선행 지표인 PPI가 급등하면서 미국의 긴축 시계가 더 빨라질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것이다. 당장 26~27일(현지시간)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또 한 번의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은 물론 울트라스텝(기준금리 1%포인트 인상)을 밟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관련기사

경기 침체 우려 속에 유로·위안화 등 주요국의 통화 가치가 동반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악재다. 유로화 가치는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에 따른 유럽의 경기 침체 우려,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의 사임을 둘러싼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겹치면서 떨어졌다. 14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날 유로당 달러값은 1.0018달러를 기록해 2002년 12월 이후 가장 낮았다. 장중 한때 0.9955까지 내려가며 20년 만에 처음으로 1유로 가치가 1달러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다. 엔화는 일본 정부가 주요국의 긴축 기조 속에서도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면서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유로화와 엔화 등 주요국 통화 약세로 강(强)달러에 대한 견제가 사라졌다”며 “이에 따른 역외 롱플레이(달러 매수) 유입에 원화 약세 기조가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고(高)환율이 가뜩이나 높아진 물가를 자극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 똑같은 수량을 사도 돈을 더 내야 하기 때문에 수입가격이 상승한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수입물가지수는 원화 기준 전월 대비 0.5% 상승해 두 달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는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를 밀어올리고, 결국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최근 물가가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의 장기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추가로 가중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문제는 이 같은 고환율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미국의 공격적 금리 인상은 물론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에 따른 유로존의 경기 침체, 코로나19 재부각으로 인한 중국의 도시 재봉쇄 우려 등이 겹쳐 있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정부와 한국은행이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 같은 적극적인 환율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이나 미세조정만으론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단 통화스와프가 논의될 가능성은 열려 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19일 방한해 추경호 경제부총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를 연이어 만나기 때문이다. 이창용 총재도 13일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과의 만남에서 (한·미 통화스와프) 이야기가 있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