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50년 수요 6배 느는데…핵심광물 어디서 사오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세계적 리튬 산지인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호수. [로이터=연합뉴스]

세계적 리튬 산지인 볼리비아의 우유니 소금호수. [로이터=연합뉴스]

각국의 탄소 중립 노력에 따라 리튬·코발트·희토류 같은 핵심광물(Critical Minerals) 수요가 2050년까지 6배 이상 늘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도 핵심광물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한국 대표부가 국제에너지기구(IEA)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청정에너지 전환과 핵심광물의 역할’ 보고서에 따르면 리튬·니켈·코발트·마그네슘·흑연은 이차전지의 성능과 수명, 에너지 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희토류는 풍력터빈과 전기차 모터에 들어가는 영구자석에 필수적이며, 전력 송배전망에는 많은 양의 구리·알루미늄이 쓰인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2040년까지 이런 핵심광물이 2020년 대비 4배, 2050년에는 6배가 더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전기차엔 일반 자동차보다 6배 많은 핵심광물이 들어가고, 육상 풍력발전소에도 비슷한 크기의 천연가스 발전소보다 9배가 더 소요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핵심광물의 특정 국가 편중이 심하다는 점이다. 리튬·코발트는 상위 3개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75%를 차지한다. 백금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코발트는 콩고가 70% 이상을 생산한다. 중국은 희토류의 60% 이상을 생산하고, 각종 핵심 광물의 가공을 주도한다. 핵심광물은 광산 탐사에서 생산까지 평균 16.5년이 걸린다. 환경오염 우려로 채굴·정제과정도 규제를 받기 때문에 이런 특정 국가의 독과점 구조가 바뀌기는 힘들다.

우려되는 건 수급 불안이다. 지난해부터 주요 광물 가격은 상승세다.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초 ㎏당 48.5위안이던 탄산리튬 가격은 이달 ㎏당 455.5위안으로 9배 이상으로 뛰었다. 코발트는 t당 3만3000달러에서 이달 t당 5만9985달러로 81.7%, 마그네슘은 t당 2110달러에서 3760달러로 78.2% 가격이 올랐다.

광물 자원을 무기화하는 흐름도 나타난다. 칠레는 리튬 광산을 국유화하는 법 개정 초안을 만들었다. 멕시코 의회도 리튬 탐사·개발·채굴 권한을 국영기업에만 맡긴다는 국유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부터 니켈 원석 수출을 금지했고, 알루미늄 원료인 보크사이트와 구리도 수출을 제한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이에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공급망 전반에 걸친 기술 개발 ▶재활용 확대 ▶생산자와 소비자간 국제협력 강화 등을 추진할 것을 주요국에 권고했다.

전기차·배터리 등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는 한국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국회입법조사처는 ‘탄소 중립 이행을 위한 금속자원 확보 과제’ 보고서에서 “금속자원 확보가 에너지 안보의 중심이 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금속자원 비축 계획의 조속한 수립 ▶금속자원 공급원을 다양화하기 위한 투자 ▶금속자원이 포함된 폐자원 재활용 정책 등을 주문했다.

정부도 미국이 주도하는 ‘핵심광물 안보 파트너십’(MSP)에 동참하고, 핵심 광물 비축량을 늘리는 등의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이와 함께 해외 자원개발 산업 생태계 회복도 추진한다.

관련 업계에선 10년간 방치돼왔던 해외 자원개발 사업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해외자원개발 신규사업 건수는 2012년 33건에서 2020년 2건으로 줄었다. 공기업 자원개발 투자는 2011년 70억 달러에서 2020년 7억 달러로, 민간기업 융자예산은 2010년 3093억원에서 2022년 349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교수는 “한국은 10년 전만 해도 중국·일본처럼 적극적인 해외 자원개발로 상당량의 자원을 확보했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 해외 자원개발이 적폐로 낙인찍히며 경쟁력을 잃어버렸다”고 진단했다. 강 교수는 “자금력이 있는 공기업과 민간이 함께 자원 영토 확장에 나서고, 정부는 자원 외교로 이를 지원해야 한다”며 “정부·공기업·민간이 ‘팀 코리아’로 움직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