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제와 새마을은 "도약 파트너"|새마을 중앙협의회 세미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지방화 시대에 새마을운동의 역할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지방자치와 새마을 운동이 상호 관련성이 있으며 지방자치제가 시행될 경우 새마을 운동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새마을 운동 중앙협의회(회장 김수학)가 2일 협의회 신관 강의실에서 연「지방화시대와 새마을운동의 역할」세미나에서 김안제 서울대 환경대학원장은「지방자치와 새마을 운동의 상호 관계」주제발표를 통해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밝히고 새마을 운동의 새로운 방향정립을 강조했다.
5공「비리」파동의 후유증으로 6공 이후 내부개혁과 조직 정비 노력에도 불구하고 침체인상을 씻지 못하고 있는 새마을 운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방향을 모색하기 외해 마련된 이날 세미나는 김 원장 외에 김유혁 단국대 교수와 이창수 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이 주제발표를 했다. 이어 구종서 중앙일보 논설위원 등이 토론자로 참가, 활발한 논의를 벌였다.
김 원장의 주제발표를 요약, 소개한다.
지난 3월 전국의 12개 읍·면·동 주민 6백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 지방자치와 새마을 운동의 관련성에 대해 35.7%가「깊은 관계가 있다」, 43.6%가「약간이나마 관계가 있다」고 답변, 전체의 79.3%가 양자간의 관련성을 인정했다.
또 지방 자치제가 새마을 운동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33.3%가「매우 긍정적」, 44.5%가「다소간 긍정적」이라고 대답해 전체의 77.8%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마을 운동과 지방자치를 연계해 추진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28.8%가「대단히 크다」, 49.0%가「필요성이 있다」고 답변, 전체의 77.8%가 연계추진을 희망하고 있었다.
김 원장은 이 같은 설문조사를 토대로 새마을 운동과 지방자치의 효과적인 접목이야말로 참다운 지역발전을 끌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새마을 운동과 지방자치를 다함께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각자의 고유한 영역과 기능을 유지하고 상대의 특성과 전문성을 인정하는 자세를 갖고 상호지원과 협조를 통해 양자의 발전을 아울러 추구해야한다』고 말하고『특히 민간주도의 새마을 운동은 관 주도의 지방자치와 지방화 시대에 야기되기 쉬운 국가와 지방의 대립, 지역과 지역의 갈등, 전체와 부분의 비리를 해소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원장은『새마을 운동은 근면·자조·협동을 바탕으로 소득증대·환경개선·의식개혁의 많은 업적을 쌓았으나 후일 지나친 관료화·전시위주행사·적절치 못한 사업시행·제반 비리 등으로 본래의 취지에서 이탈, 국민의 불신을 받고 활동자체가 위축됐다』고 지적하고『새마을 운동은 그 동안의 공과를 자성하고 평가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방향으로 다시 도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새마을 운동의 시대적 과제와 발전 방향」을 주제로 발표한 김유혁 교수는 지방화시대에 있어서 새마을 운동의 과제로 ▲지역적 개성의 신장 ▲지역경제 성장기반의 확충 ▲다극적 지역형성에 기여 등을 꼽으면서 새마을운동은 지방자치의 최근에 큰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김동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