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기업 ‘높은 벽’…중소기업 이직자 중 10%만 대기업 갔다

중앙일보

입력

중소기업을 다니다 직장을 옮긴 10명 중 8명은 다른 중소기업으로 취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수직 이동을 한 사람은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첫 취업 때의 직장 규모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이 통계로 드러나면서 대기업의 ‘높은 벽’을 실감케 했다.

“첫 직장이 중요” 이유 있었다

2020년 기업규모에 따른 일자리이동 통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이직자는 전체 이직자의 10.1%에 그쳤다. [자료 통계청]

2020년 기업규모에 따른 일자리이동 통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의 이직자는 전체 이직자의 10.1%에 그쳤다. [자료 통계청]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일자리이동 통계’를 보면 2019년과 2020년 사이 이직한 사람은 총 367만4000명이다. 이중 중소기업에서 이직한 사람이 270만8000명으로 대기업(44만4000명)보다 6배 이상 많았다. 중소기업 취업자 수가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해 이직자 비율로 비교해도 중소기업(17%)이 대기업(11.6%)보다 높았다.

중소기업 직장인의 활발한 이직 활동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으로의 이직은 제한됐다. 중소기업 출신 이직자 중 대기업으로 이직한 비율은 10.1%(27만4000명)였다. 이직을 통해 몸값을 높이면서 더 좋은 회사로 가는 수직 이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는 뜻이다. 청년 구직자들 사이에서 “첫 직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말이 나오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대기업 출신 이직자 중에서도 34.5%만이 대기업으로 이동했다. 절반이 넘는 57.5%는 중소기업으로 직장을 옮겼다.

10명 중 4명은 이직 때 월급 줄어 

그러다 보니 이직자 중 39.8%는 회사가 바뀌면서 되레 임금이 줄었다. 이들 중 47%는 줄어든 월급이 50만원 이상이었다. 임금을 높이거나 더 좋은 복리후생을 위해 이직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절반 가까운 직장인이 임금 감소를 감수하면서까지 회사를 옮겼다. 코로나19 등으로 회사 사정이 안 좋아지면서 원하지 않는 이직이 상당수 발생했다는 풀이가 나온다.

지난 4월 서울 마포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구인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지난 4월 서울 마포구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구인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임금이 증가한 59.2% 중에서는 54%가 50만원 미만으로 월급이 늘었다. 연봉을 올리며 이직했다고 해도 상승 폭은 크지 않았다는 의미다. 일자리를 이동하면서 임금이 줄어든 비율은 전년도만 해도 31.7%였다. 1년 새 8.1%포인트가 늘었다.

이직자 대부분은 자영업자가 아닌 월급쟁이였다. 비임금근로자로 분류되는 자영업자 중에서 이직자는 전체 이직 시장 규모의 7.2%에 불과했다. 자영업을 하다가 직장을 새로 구한 사람의 83.6%는 월급쟁이로 전직을 선택한 것으로 드러났다. 회사에 소속돼 월급을 받다가 이직한 345만4000명 중 자영업을 선택한 사람은 22만7000명으로 6.6%에 불과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