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코로나19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2차 추경이 통과되면 피해지원금을 차등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지급 대상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코로나19 방역조치로 손실을 입은 소상공인과 소기업 551만개사입니다. 인수위는 정확한 손실 규모 계산을 통해 1인당 최대 600만원의 피해지원금을 지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인수위 측 추계 결과에 따라 손실 규모가 큰 업체일수록 피해지원금을 많이 받게 됩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은 피해지원금 차등지원에 대해 "방대한 과세 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 방역 조치로 인한 소상공인들의 정확한 손실 규모를 산정했다"고 했습니다.
이번 인수위가 발표한 차등지원 방식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후보 시절 공약으로 내세웠던 소상공인·자영업자 600만원 일괄 지급과 사뭇 다릅니다. 이에 대해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은 29일 MBC라디오에서 "지금 구체적인 액수를 얘기하진 못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지원했던 규모보다는 훨씬 두텁고 넓게 지원하는 안이 마련돼 있다"며 "추경이 확정이 안 됐기 때문에 이런 오해들이 생길 수는 있는데 말씀드릴 수 있는 건 기존보다 훨씬 대상도 넓어지고 지원도 두터워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윤 당선인의 공약과 다른 지침이 나오자 공약을 이행하지 않는 것에 불만을 토로하는 네티즌이 있습니다. "그럼 애초에 공약했으면 안 됐지. 이건 매표행위에 기만이고 사기다." "공약대로 약속을 지키셔야지. 말을 자꾸 바꾸면 어쩌자는 건지. 약속대로 600 지급하세요."
반면 무리한 추경을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 있습니다. "지금 경제도 어렵고 국고도 넉넉하지 않은데 상황에 맞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공약이라고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건 아니지. 지키려고 노력했고 최대한 주어진 상황에서 지급하려는 것처럼 보이는데?"
소상공인뿐 아니라 직장인 등 다양한 계층에 지원금을 마련해달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자영업자도 힘들지만 코로나 방역 조치로 힘든 사람들은 더 있습니다. 대상을 확대하거나 다른 지원금 마련해주세요."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은 당연히 약속대로 지급해줘야지. 근데 여기에 전 국민이나 범위를 넓혀서 더 지원해줬으면 좋겠다…."
e글중심이 네티즌의 다양한 생각을 모았습니다.
* e 글 중심(衆心)은 '인터넷 대중의 마음을 읽는다'는 뜻을 담았습니다.
* 커뮤니티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 반말과 비속어가 있더라도 원문에 충실하기 위해 그대로 인용합니다.
#유튜브
#네이버
#네이버
"일괄 지급하라는 이기주의를 봤나. 코로나 상황에서 방역으로 장사가 안 된 걸 피해 본 만큼 그 정도에 따라 지급하는 게 당연한거 아님?"
ID 'sinj****'
#네이버
#다음
#다음
황재영 인턴기자
지금 커뮤니티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들입니다.
제목을 클릭하면 원글로 이동합니다.
커뮤니티 HOT 이슈는...
1. 인스티즈 〈요즘 시골에 cctv 다는 집이 많아지는 이유〉
2. 더쿠 〈디올 Fall 2022 이화여대 패션쇼 티져에 나온 지수 수지 김연아〉
3. 네이트판 〈〈톡파원 25시 스위스 호텔 9번 방의 비밀〉〉
4. 오늘의유머 〈자꾸 꿀을 훔쳐먹으러 오는 곰〉
5. 웃긴대학 〈헤드폰 쓴 주호민 세글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