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60㎞ 파이어볼러, 한국선 언제 나올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광속구’가 다시 화두다. 올해 메이저리그(MLB)에 데뷔한 투수 헌터 그린(23·신시내티 레즈)은 지난 17일 LA 다저스전에서 시속 100마일(약 161㎞)이 넘는 공을 39개나 던졌다. MLB가 투구추적시스템(PTS)으로 구속을 측정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시속 100마일이 넘는 공을 가장 많이 던졌다. 제이컵 디그롬(뉴욕 메츠)이 지난해 6월 6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서 기록한 33개를 1년도 안 돼 뛰어넘었다. 이날 그린의 최고 시속은 164㎞, 직구 평균 시속은 159㎞이었다.

사사키 로키(21·지바롯데 마린스) 연합뉴스=AFP

사사키 로키(21·지바롯데 마린스) 연합뉴스=AFP

같은 날 일본 프로야구(NPB)에선 사사키 로키(21·지바롯데 마린스)가 최고 164㎞, 평균 158㎞의 직구를 앞세워 17이닝 연속 퍼펙트를 달성했다. 8회가 끝난 뒤 교체돼 세계 최초의 2경기 연속 퍼펙트게임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포크볼이 140㎞대 중반까지 나오는 괴력을 뽐내 전 세계 야구팬을 놀라게 했다.

한국 프로야구에선 아직 시속 160㎞ 강속구를 자유자재로 던지는 투수가 나오지 않았다. 투수 역학 박사학위를 딴 최원호 한화 이글스 퓨처스(2군) 감독은 “MLB와 NPB는 역사와 인프라, 노하우 면에서 KBO리그와 격차가 있다”며 “머지않아 한국에도 나타나겠지만,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 안우진(23, 키움 히어로즈), 문동주(한화 이글스)의 비시즌 훈련을 담당하는 김광수 코치도 “미국·일본처럼 선수층이 두꺼워야 천재형 유망주를 발견할 가능성이 커진다. 최근 빠른 공을 던지는 젊은 투수가 많아진 건 2008 베이징올림픽 금메달 이후 유망주들이 야구로 많이 몰렸기 때문”이라며 “학생 야구선수가 줄어드는 추세라 앞으로 ‘160㎞ 투수’를 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헌터 그린. 연합뉴스

헌터 그린. 연합뉴스

투수의 볼 스피드는 대표적인 ‘재능’의 영역이다. 전문가들은 후천적 노력으로 늘릴 수 있는 구속의 범위를 시속 5㎞ 안팎으로 여기고 있다. 시속 140㎞를 던지던 투수가 145㎞까지 끌어올릴 수는 있어도, 150㎞에 도달하기는 어렵다는 의미다. 김광수 코치는 “구속은 80%가 타고난 신체 능력에 달려 있다. 그 외에 좋은 지도자의 코칭이 10%, 적절한 웨이트 트레이닝이 5%, 선수 개인의 역량과 노력이 5% 정도 작용하는 것 같다”고 했다.

안우진

안우진

국내 투수 중 시속 160㎞에 가장 근접한 후보는 안우진이다. 그는 2020년 10월 17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시속 160㎞를 찍었다. KBO 공식기록통계업체 스포츠투아이가 PTS로 측정한 이 공의 시속은 157.44㎞였다. 안우진은 올해 이보다 더 빠른 공을 던졌다. 2일 롯데 자이언츠와의 개막전 1회 안치홍을 상대로 던진 2구째 직구가 시속 157.53㎞(전광판엔 159㎞)를 기록했다. 안치홍은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하는 이 공에 배트를 내지 못했다.

아직 프로 데뷔전을 치르지 않은 문동주와 심준석(덕수고)도 기대감을 키운다. 문동주는 지난달 스프링캠프 불펜피칭에서 시속 155㎞의 강속구를 던진 특급 유망주다. 고교 3학년인 심준석은 2학년인 지난해 최고 157㎞를 찍어 화제를 모았다. 셋 다 키 1m90㎝ 안팎의 장신이다.

최원호 감독은 이들의 160㎞ 도전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운동 역학자들은 근력의 정점을 20대 중반으로 본다. 그 시기 이후에는 운동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근력이 떨어지기 시작한다는 것”이라며 “20대 초반 선수들은 발전 가능성이 충분히 열려있다. 아주 드물지만, 오동욱(한화), 이혜천(전 두산)처럼 프로에 와서 시속 10㎞ 이상 공이 빨라진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역대 한국 투수 구속 톱10

역대 한국 투수 구속 톱10

실제로 그린은 2017년 신시내티에 지명된 뒤 지난해까지 마이너리그에서 경험을 쌓았다. 2018년엔 팔꿈치 수술도 받았다. 입단 5년 만인 올해 빅리그에서 광속구를 뿌리고 있다. 사사키도 2020년 입단 후 1년간 2군에서 제구를 다듬고 프로에 적합한 몸을 만들었다. 지난 시즌 11경기에 등판한 뒤 3년 차인 올해 진짜 ‘괴물’로 도약했다. 안우진도 입단 당시보다 최고 구속이 4㎞가량 늘었다. 김광수 코치는 그 비결로 ‘벌크업’을 꼽았다.

물론 좋은 투수의 기본은 커맨드(마음먹은 대로 공을 던지는 능력)다. 최원호 감독은 “투수의 기술 중 1번은 구속이 아니다. 공을 던질 줄 아는 선수가 스피드를 늘려야 효과가 있다”고 했다. 실제로 2011년 이후 국내 투수 비공인 최고 구속(시속 158.68㎞)을 기록한 최대성은 11시즌 동안 244와 3분의 1이닝만 던지고 은퇴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