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安 '교육부 폐지' 현실화?…인수위 구성, 교육보다 과학에 방점

중앙일보

입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 구성이 마무리된 가운데 과학·교육 분과 인수위원 자리 중 상당수가 과학·미디어계 출신으로 채워졌다. 새 정부가 조직 개편에서 '과학'에 방점을 둘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미디어 전담 중앙부처가 신설될 것이라는 관측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21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비상대응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국회사진기자단]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21일 서울 통의동 인수위 회의실에서 열린 코로나19비상대응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국회사진기자단]

과학·미디어계 4인씩 포함

인수위는 지난주 인수위원 24명의 명단을 발표한 데 이어 21일 전문위원 76명, 실무위원 73명 등 총 184명 규모의 인수위 구성을 끝내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과학·교육 분과는 인수위원 3명, 전문위원 9명, 실무위원 9명 등 총 21명으로 구성됐다.

尹인수위, 인수위원 24명 분석.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尹인수위, 인수위원 24명 분석.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21일 추가로 발표된 과학·교육분과 전문·실무위원 18명은 과학계(4명), 미디어계(4명), 교육계(3명)와 당 관계자 등으로 꾸려졌다. 전문위원으로 위촉된 이창윤 과학기술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손명선 원자력안전위원회 기획조정관,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가 과학계 인사다.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안호림 인천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미디어계로 분류된다. 교육계로 분류되는 외부 인사는 교육부를 거쳐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대교협) 사무총장 등을 역임한 황홍규 서울과기대 미래융합대학 교수가 사실상 유일하다.

교육부 관료 중에선 김일수 산학협력정책관이 전문위원으로, 조훈희 예산담당관이 실무위원으로 위촉됐다. 산학협력정책 담당국장을 전문위원으로 발탁한 점은 인수위가 교육부의 고유 기능인 고등교육 진흥보다 산학 연계에 방점을 두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지난 17일 발표된 인수위 구성에서도 과학기술교육 분과의 인수위원 3명이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전문가로 꾸려졌다.

과학자 위주 인사에…'교육 홀대론' 불거져

전문위원 인선에도 교육계 대신 과학계 인사가 대거 포함되면서 '교육 홀대론'도 불거지고 있다. 특히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대선 후보 시절 과학기술부총리직 신설, 교육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것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안 위원장은 교육부를 폐지하고 국가교육위원회가 주요 교육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뉴스1]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수위원회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뉴스1]

아직 인수위 관계자들은 교육부 폐지설과 관련해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전문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린 황홍규 서울과기대 교수는 교육부 폐지 혹은 과학기술교육부로의 개편설에 대해 "부처 구분보다는 실제로 무슨 일을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며 "(교육부 존폐)여부보다는 교육부가 지금껏 해온 역할을 어떻게 더 잘하게 만들지가 중요하다"고 말해 즉답을 피했다.

미디어계 4인 포함…'미디어부' 신설 무게

'과학 쏠림' 현상과 함께 두드러지는 것은 미디어계의 약진이다. 미디어학부 교수 2명을 제외하고도 최수영 시청자미디어재단 경영기획실장(전문위원), 이소라 방통위이용자보호과장(실무위원)이 인수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문·실무위원을 통틀어 3명이 포함된 교육계보다 무게감이 있다. 인수위가 새 정부 조직개편안에 '디지털미디어부'를 신설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쏠리는 배경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실이 지난 1월 5∼14일 전국 교직원 학생 학부모 등 9233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65.6%는 교육부 폐지나 기능 축소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별로 보면 부정 응답률은 학부모에서 6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교원이 63.3%, 학생이 52.1%였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