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 FTA 10년' 양국간 무역액 68% 증가…무역수지 흑자 2배 늘어

중앙일보

입력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자료사진. [중앙포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자료사진. [중앙포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이후 10년 동안 양국 간 상품 무역액이 약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FTA가 양국 간 무역과 투자 확대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11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한미 FTA 10년 평가와 과제'에 따르면 한미 양국 상품무역은 FTA 발효 전 2011년 1008억달러(약123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1691억달러(약 207조7000억원)로 67.8% 증가했다.

한국 상품무역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9.3%에서 13.4%로 상승하며, 한국의 2대 무역상대국으로 부상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와 부품, 석유제품, 2차전지 등이 수출을 주도했다.

자동차와 부품은 지난해 기준 대미(對美)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25.0%)을 차지했다. 10년간 연평균 5.8%씩 성장해 FTA 체결 전보다 수출 규모가 75.5% 늘었다.

석유제품 수출액은 2011년 26억5000만 달러에서 2021년 48억1000만 달러로 연평균 6.2% 증가했다. 2차전지 대미 수출액 역시 FTA 발효 이후 연평균 20.4% 늘었다.

이처럼 수출이 확대되면서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FTA 발표 전 연간 116억달러에서 2021년 227억달러로 2배 가까이 늘었다.

국내에 직접 투자한 최대 해외국도 미국이 차지했다. 미국은 한국 기업의 최대 해외 투자처이기도 하다. FTA 발효 이후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투자(FDI)에서 미국이 차지한 비중은 22.3%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해외투자 중 대미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5.2%다.

특히 한국 기업은 미국에 배터리·반도체·전기차 중심으로 투자를 늘렸다. 이는 미국 내 생산기반 확충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졌다.

연구원은 한·미 FTA가 양국 공급망 협력 강화에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반도체 산업을 예로 들면 미국은 설계와 디자인, 한국은 제조 분야의 강점을 살려 강력한 공급망을 구축했다는 분석이다.

이유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향후 무역협정은 시장개방을 넘어 경제 안보의 동맹 강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