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중 패권경쟁 심화…한국, 공급망 다변화해 중국 의존도 줄여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미·중 패권 경쟁이 올해 더 심화될 것이라고 통상 분야 전문가들이 진단했다. 사진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난해 1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모습. [UPI=연합뉴스]

미·중 패권 경쟁이 올해 더 심화될 것이라고 통상 분야 전문가들이 진단했다. 사진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이 지난해 1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모습. [UPI=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통상 분야에서도 심각해짐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공급망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이 주관하고, 한국무역협회와 서울대 국제대학원이 공동 주최한 ‘2022년 글로벌 통상환경 전망과 대응’ 세미나에서다.

통상 전문가들은 올해 미·중간 패권경쟁이 심화하고, 디지털화가 가속하며, 각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강화하면서 세계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는 “중국 내 소비 위축, 탄소중립 정책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 감축, 미·중 패권경쟁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와 기술 고립의 가속화 등이 예상된다”면서 “중국은 장기적으로 미국과 전략적 경쟁체제를 도모함과 동시에 국내로는 혁신성장 정책을 추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워싱턴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게리 하프바우어  선임연구위원은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로 아시아 국가들과의 연대를 도모하고 있지만, 민주당 내 반발로 올해 중에는 실질적인 무역자유화 논의가 다뤄지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기업이 맞닥뜨릴 리스크 또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조성대 한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내용과 범위를 예측하기 어려워 기업 경영에 더 큰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원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각국의 공급망 재편은 결국 중국 의존도 줄이기가 될 것”이라며 “경제·안보적 고려뿐 아니라 국가 간 협력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업의 대응전략 마련도 시급해졌다. 이주완 포스코 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대부분의 경제권이 핵심 산업의 공급망 자립도를 높이려 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현지에 생산기지를 구축해야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공급망 구축이 수익성·접근성을 우선으로 했다면, 이제는 위기 대응을 추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박태호 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은 “동맹인 미국의 요구를 무시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원자재 공급망의 중국 의존 구조를 바로 탈피하기도 힘들어 한국의 고민이 큰 것”이라고 짚었다. 박 원장은 “단기적으로는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관리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혁신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면서, 유럽연합(EU)·일본 등과의 기술혁신 파트너십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