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벼락거지’ 증명…가구소득 7% 늘 때 부동산 37% 뛰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터져 나온 ‘벼락 거지’라는 자조가 통계로도 입증됐다. 문재인 정부 들어 가구당 평균 소득이 증가하는 것보다 부동산으로 인한 자산 증가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19일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 평균 부동산 자산 규모는 3억6708만원으로 2017년보다 36.8%가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당시 가구당 부동산 자산은 2억6835만원이 평균이었다. 4년 새 9873만원이 오른 것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4746만원이 오르면서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연 상승 폭으로는 최대를 기록했다.

거주 방식에 따른 순자산 변동.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거주 방식에 따른 순자산 변동.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관련기사

같은 기간 가구당 금융 자산은 16.4%가 불어났다. 코스피(KOSPI) 지수가 3000선을 넘었지만, 부동산 자산 상승률에 비하면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가구소득 증가 폭은 부동산은커녕 금융자산 상승률보다도 작았다. 부동산 보유 여부가 빈부 격차를 벌렸다는 풀이가 나온다. 부동산이 가구 평균 자산(5억253만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2017년(3억1572만원)에서 올해 4억1452만원으로 늘었다. 증가율은 31.3%에 달한다. 반면 가구 평균 소득은 지난해 6125만원을 기록해 2017년(5705만원)보다 7.1%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가구 소득은 2019년(5924만원)보다 3.4% 올랐는데, 재난지원금 등 재정지원의 영향이 컸다.

가계금융복지 조사에선 올해 공식 집계는 발표되지 않았으나, 올해 1~3분기 가계동향조사 가구 소득 증가율을 고려하면 순자산 증가 폭과의 격차를 좁히기는 역부족이다.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3분기 이외에 지난해 대비 큰 폭의 소득 증가는 없었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올해) 부동산 가격 상승과 이로 인한 자산 증가율은 역대 최대였다”며 “소득의 경우 공적이전소득이 지난해 증가한 소득에 미친 영향을 별도로 산출해보면 기여율이 약 72%”라고 말했다.

지역에 따른 순자산 변동.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지역에 따른 순자산 변동.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주택 보유 가구와 전·월세 가구의 자산 격차도 벌어졌다. 자가 소유 가구의 올해 순자산은 5억5936만원으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4억2223만원)보다 1억3713만원(32.5%) 올랐다. 같은 기간 전세 거주 가구의 순자산 증가율(27.1%)이나 월세 거주 가구(12.6%)보다 높다. 순자산은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통계인 만큼 자가 부동산을 위한 부채 부담을 고려해도, 집을 소유한 게 자산 증식에 유리했다는 풀이가 나온다.

거주하는 주택 종류별로 비교하면 아파트 거주 가구의 자산 증가 폭이 단독·다세대주택 거주 가구를 압도했다. 아파트 거주 가구의 순자산은 5억3751만원으로, 2017년(3억9285만원)보다 1억4466만원(36.8%)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단독주택(18.2%), 연립 및 다세대(15.9%) 가구의 자산 증가율과 비교하면 2배가 넘는다.

서울 등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자산 격차도 벌어졌다. 수도권 가구의 순자산은 5억1992만원으로 2017년보다 41.5%가 올랐다. 전국 순자산 증가율(31.3%)보다도 높다. 반면 비수도권 가구의 순자산은 2017년(2억6775만원)에서 올해(3억1413만원)로 4638만원(17.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번 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을 내세웠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부동산 격차는 더 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