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유행 후 급성심정지 환자 생존율·뇌기능 회복률 모두 떨어졌다

중앙일보

입력

119구급대 자료사진. [연합뉴스]

119구급대 자료사진. [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1~4차 유행이 발생한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률과 뇌기능 회복률 모두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정지 환자는 갑작스레 심장 활동이 심각하게 저하되거나 멈춘 상태를 말한다. 의료대응 역량이 코로나19에 집중된 게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코로나19 외 대응력에 ‘구멍’이 생겼다는 의미다.

생존율 8.7%→7.5%로 떨어져 

30일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정지 환자는 3만1652명에 달한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로 보면, 61.6명이다. 2017년 57.1명에서 2018년 59.5명, 2019년 60명으로 증가세다. 급성심정지는 여성(44.3%)보단 상대적으로 남성(79.1%)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또 연령이 올라갈수록 발생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제주가 인구 10만 명당 98명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세종은 같은 기준 33.7명으로 가장 낮았다.

문제는 지난해 급성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떨어졌다는 데 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의무기록조사까지 마친 환자는 3만1417명이다. 하지만 이 가운데 2345명만이 살았다. 생존율 7.5%다.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생존율 2.3%에 비해서는 3배가량 높은 수치다. 하지만 2017~2019년간 평균 생존율 8.7%보단 떨어졌다.

뇌 기능 회복률 역시 지난해 4.9%로 2019년 5.4%에 비해 감소했다. 뇌 기능 회복은 퇴원한 급성심정지 환자가 혼자서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 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송병원 선정 지연 등 여러요인 복합적 결과" 

정성필 국가 급성심장정지조사감시 자문위원회 위원장(연세대 의대 교수)은 “코로나19 유행으로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여러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다”며 “감염 우려에 적극적인 심폐소생술 시행이 줄어들고 이송병원 선정 지연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는 의료체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심장정지와 같이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환자에게 적시에 적절하게 관리하기에 여러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심폐소생술 경연 자료사진. 뉴스1

심폐소생술 경연 자료사진. 뉴스1

그나마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26.4%로 조사됐다. 2010년 3.4%에 비해 8배 가까이 올랐다. 지난 27일 서울 송파구의 한 사거리에서 택시기사가 심정지로 갑자기 쓰러진 아이에게 심폐소생술을 해 살린 사례가 전해지기도 했다. 이처럼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은 급성심정지로 쓰러진 환자를 보고 난 뒤 이뤄진다. 하지만 심정지로 쓰러진 과정을 목격한 경우가 50.1%에 달하나 심폐소생술 시행비율은 26.4%에 그쳐 현장을 ‘외면’하는 경우도 상당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질병청과 소방청은 30일 ‘제10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3만여명 환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신열우 소방청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번 심포지엄이 더 많은 심정지 환자를 살릴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고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