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위중증·사망자 또 최고치…식당·카페도 '백신 패스' 도입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4일 오전 코로나19 거점전담 병원인 경기도 평택시 박애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돌보고 있다. 뉴스1

24일 오전 코로나19 거점전담 병원인 경기도 평택시 박애병원 중환자실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중증환자를 돌보고 있다. 뉴스1

국내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연일 역대 최다를 기록하는 가운데 전국 중환자 병상이 동났다. 정부는 오는 29일 방역 강화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29일 청와대서 방역점검회의열고 방역강화 대책 발표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사망자는 56명, 위중증 환자는 647명이다. 지난해 1월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 나온 이후 최다치다. 사망자는 이틀 연속, 위중증 환자는 6일 연속 최다 기록을 바꿔쓰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중증 환자가 늘어나는데, 이들을 치료할 병상이 부족해지면서 사망자가 계속 늘어날 우려가 제기된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전국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75%다. 전국 1154개 병상 중 866개가 차있다. 서울ㆍ경기ㆍ인천의 중증 병상 가동률은 85.4%다. 수도권의 714개 중증환자 병상 중 610개가 차있다. 서울은 48개, 경기 43개, 인천은 13개만 비어있다.

수도권의 중증 환자 병상이 꽉 차면서 병상 배정을 기다리는 환자가 사흘째 1000명을 넘겼다. 이날 0시 기준 1265명이 병상을 기다리고 있다. 하루 이상 대기자는 649명, 2일 이상 대기자는 282명이다. 3일 이상 대기자는 204명, 4일 이상 대기자가 130명에 달한다. 병상 대기자의 38.4%(486명)은 코로나19 고위험군인 70세 이상이다. 고혈압, 당뇨 등 코로나19에 취약한 기저 질환자는 779명(61.5%)이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이후 보름만에 수도권의 중증 병상이 포화 상태가 됐지만 정부는 전국적으로는 병상에 여유가 있어 방역 강화를 할 때는 아니란 입장이었다. 수도권 중증환자를 충청ㆍ전북ㆍ경북까지 이송하며 버틸 심산이었다. 하지만 비수도권 병상마저 차오르고 있다.
대전ㆍ세종의 중환자 병상은 1개씩 남았다. 충북과 충남은 각 3개, 4개 병상 비었다. 경북은 남은 중환자 병상이 0이다.

앞서 정부는 병상을 효율적으로 가동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민간 병원의 중증 환자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고, 중증 환자가 상태가 나아진 환자나,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준중환자 병상을 늘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전국 71.3%, 수도권은 82.7%에 이르렀다.

26일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서북병원 주차장에 위중증 환자 급증에 대비한 '이동형 음압 병실'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26일 서울 은평구 서울시립서북병원 주차장에 위중증 환자 급증에 대비한 '이동형 음압 병실'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최재욱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정부가 중증 병상 확보 명령과 병상 이용 효율화 등의 조치를 내놨지만 위중증 환자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의료전달체계의 일상회복을 해야 하지만 당장 단기적으로는 중증환자를 최소화하고, 동원 가능한 전담병상을 최대한 늘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고령환자의 경우 중증으로 가지 않도록 진단되자마자 초기에 항체치료제를 적극적으로 쓰고, 고령자들의 부스터샷(추가접종)을 더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그는 “이미 대부분의 공공병원이 전담병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국립중앙의료원 등 공공병원과 군 병원을 준중환자 병상으로 전부 전환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이동형 병원을 마련해 병상 대기 하다 사망하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날 오후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위험도에 관해 논의하기로 했다. 이어 29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를 개최해 방역 강화 대책을 결정한다.

정부는 지난 26일 방역 강화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하루 전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발표를 미뤘다. 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식당ㆍ카페 이용할 때 방역패스(백신 접종증명서ㆍ음성증명서)를 소지하도록 하고, 방역패스 적용 대상을 만 12세 이상 청소년까지 늘리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백신 접종 완료자의 경우 방역패스 유효기간을 6개월로 설정해 부스터샷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