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인 상호금융의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가 1금융권인 대형 시중은행보다 싸진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시행하면서 시중은행이 대출 고객을 덜 받기 위해 금리를 올렸고, 그 여파로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호금융권의 금리보다 1금융권 금리가 비싸게 된 것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새마을금고 서울 교남동 지점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평균 연 3.39%, 남대문·충무로 지점은 연 3.2%다. 서울 시내에 위치한 단위 농협의 주담대 금리는 2.71~4% 수준이다.
반면 11일 기준 국민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45%~4.65%다. 5년간 금리가 고정되는 혼합형 주담대는 연 3.96~5.16%로 연 5% 선을 뚫었다. 변동형 기준 신한(3.49~4.54%), 하나(3.54~4.84%), 우리(3.52~3.82%)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 10월 26일 오후 서울의 한 시중 은행의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
신용대출 금리 역전 현상은 주담대보다 앞서 나타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상호금융권 평균 가계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연 4.15%)보다 0.31%포인트 낮은 연 3.84%다. 상호금융권 신용대출 금리는 2월 말 연 3.57%로 은행 금리(연 3.61%)를 처음 역전한 이후 매달 격차를 벌리고 있다.
은행 고객은 봉? 상호금융보다 비싼 이유
중·저신용자들이 주로 찾는 2금융권은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은행들이 가계 대출을 줄이겠다며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마진 폭(가산금리)을 올리면서 은행 고객들이 새마을금고 고객보다 비싼 이자를 내는 기현상이 나타났다.
상호금융 중에서도 가계대출 급증으로 주택 관련 여신을 중단했던 농협·수협과 달리 신협·새마을금고는 대출 여력이 있다. 시중 은행들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6%)를 거의 채우거나 이미 넘긴 것과는 대조적이다.
신협의 1~10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84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4% 증가라는 목표치(1조4350억원)까지는 아직 여유가 있다. 새마을금고도 지난 1~10월 가계 대출이 1조9700억원 늘어 지난해 대비 2~3% 증가에 그쳤다.
한 상호금융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상호금융권에 가계대출보다 정책 자금 대출과 소상공인· 자영업자 대출에 주력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했기 때문에 시중은행만큼 가계 대출이 폭발적으로 늘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상호금융도 은행과 똑같이 주 단위로 대출 동향을 당국에 보고하고 있기 때문에 1금융권 고객이 밀려들어도 무작정 대출을 늘리기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주택담보대출. 셔터스톡
금리 역전 현상이 나타나며 대출을 받기 위해 상호금융권의 문을 두드리는 이도 늘어날 수 있다. 주거래 은행의 우대금리와 한도 등을 상호금융권의 대출 조건과 비교해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신협과 새마을금고는 지점 하나하나가 개별 법인이기 때문에 대출 금리가 제각각이다. 같은 신용등급(1~3등급)이라도 지점별 대출 금리(서울 묵동화랑점 새마을금고 2.8%, 서울 종로3·4가점 새마을금고 6.24%)가 다르다. 예·적금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해당 지점의 업무 권역에 거주하거나 직장에 다녀야 하지만 대출은 지점 업무 권역에 상관없이 어디서든 받을 수 있다.
2금융권에서 대출받으면 신용점수가 크게 떨어진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다 맞지는 않다. 신용점수 하락 폭은 1·2 금융 등 업권 분류보다 실제로 지불하는 금리 구간에 더 영향을 받는다.
한 주요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통상 1금융권 금리가 2금융권보다 낮기 때문에 1금융권에서 대출을 낼 때 신용 점수가 덜 깎인다는 사실이 상식으로 받아들여졌지만 2금융권이라도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는다면 신용 점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