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30억 그루는 포기했지만…"북한에 나무심기는 계속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산림청 대규모 벌채 계획 철회

산림청이 2050년까지 나무 30억 그루를 심겠다는 계획을 철회했다. 나무를 대대적으로 벌목하고 새 나무를 심는 대신 종전처럼 경제적 가치가 있는 나무만 골라서 베어내는 방식으로 바꿨다.

강원도 홍천군 벌채 현장. [사진 최병성 목사]

강원도 홍천군 벌채 현장. [사진 최병성 목사]

7일 산림청에 따르면 산림 부문 탄소중립 민관협의회(민관 협의회)는 최근 ‘2050 탄소중립 산림부분 추진전략(탄소 순환림 조성)’을 수정한다고 발표했다. 탄소순환림 조성은 수령이 20~30년 된 나무를 벌목하고 새 나무를 심어 탄소를 줄이는 게 목표였다. 30억 그루를 심으면 탄소 3400만t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산림청은 전망했다. 이 가운데 26억 그루를 탄소 순환림으로 조성한다는 게 지난 1월 산림청이 내놓은 계획안이다. 이후 전국 곳곳에서 “싹쓸이 벌목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에 환경단체와 임업계 등이 반발하자 산림청은 지난 7월 민관협의회를 만들었다. 민관협의회는 경제림 육성단지와 목재 생산림을 중심으로 산림 순환경영을 강화하기로 방향을 바꿨다. 이는 산림청이 지금까지 해오던 산림경영 방식이다. 나무 종류별로 경제성이 있는 단계에서 선별적으로 벌목해 목재로 활용하거나 판매한다. 경제림벌채 가능 시기는 나무별로 차이가 있다. 국유림 기준 소나무·잣나무는 60년, 낙엽송·삼나무 50년 등이다.

경북 울진 벌채 현장. [사진 최병성 목사]

경북 울진 벌채 현장. [사진 최병성 목사]

도시숲 가꾸기 등으로 나무심기 

산림청은 탄소 순환림 조성 계획을 철회했지만 나무심기는 계속한다. 도시숲 가꾸기 등으로 1~2억 그루를 심고, 북한에도 3억 그루를 심을 계획이다. 산림청은 이를 포함한 전체 조림 물량은 올해안에 결정하기로했다.
도시숲에는 미세먼지 차단숲, 도시바람길숲, 자녀 안심 그린숲 등이 있다. 미세먼지 차단숲은 산업단지나 화력발전소 인근, 소규모 공장지대, 주요 도로 변, 철도변 유휴지 등에 조성한다. 산림청은 올해 전국적으로 150ha규모의 미세먼지 차단숲을 만들 예정이었다.

강원도 홍천군 벌채 현장. [사진 최병성 목사]

강원도 홍천군 벌채 현장. [사진 최병성 목사]

도시 바람길술은 전국 17개 광역단체별로 만든다. 도시 외곽의 산림에서 생긴 맑고 찬 공기를 도심으로 끌어들여 대기 순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 바람길숲 조성 사업비는 광역 단체별로 200억원(국비 100억원)씩 편성됐다. 서울·대전·부산·인천·대구 등 11개 광역 단체는 지난해 공사를 시작했다.

"북한에 3억그루 심어 산림복구" 

산림청은 국내에만 나무를 심는 것만으로는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역부족이라는 판단에 따라 북한 산림복구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향후 30년간 북한 땅에 3억 그루를 심는 게 기본 목표다. 관련 부처 자료를 종합하면 북한의 전체 산림 824만ha 중 147만ha가 황폐화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림은 비정치적인 분야로 남북 산림협력 사업이 한반도 평화체계 구축의 마중물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4월 경기 파주 남북산림협력센터에서 열린 탄소중립 평화의 나무심기 행사에서 이인영 통일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나무를 심고 있다. 뉴스1

지난 4월 경기 파주 남북산림협력센터에서 열린 탄소중립 평화의 나무심기 행사에서 이인영 통일부 장관 등 참석자들이 나무를 심고 있다. 뉴스1

이와 관련,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 기조연설에서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산림 복원 협력을 비중 있게 제시하면서 산림녹화 대상으로 개발도상국과 함께 북한을 명시했다. 문 대통령은 “나무는 살아있는 온실가스 흡수원”이라며 “남북한 산림 협력을 통해 한반도 전체의 온실가스를 감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