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30년까지 친환경차 450만대 보급? 불가능한 목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이 지난 20일 서초동 자동차회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정만기 자동차산업협회장이 지난 20일 서초동 자동차회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지난 12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전국금속노조연맹,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정부에 전달하는 의견서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2030년 무공해차(친환경차) 보급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탄소중립위원회가 2030년까지 친환경차 450만대를 보급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한 데 대한 반기다.

노동조합과 산업협회가 같은 목소리를 낸 건 그만큼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번 건의서를 주도한 정만기(62)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을 지난 20일 만나 위기감을 들어봤다. 정 회장은 “미래차 전환에서 가속페달만 밟으면 국내 자동차 부품사가 안팎으로 견디기 힘들 것”이라며 “해외 경쟁사보다 취약한 산업구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2030년 친환경차 450만대 보급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이유는 뭔가.
“실제는 300만대에도 한참 미치지 못할 것이다. 이달 기준 국내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는 20만대로, 2030년까지 450만대를 달성하려면 매년 약 54만대를 보급해야 한다. 현대차그룹이 연간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차가 글로벌 기준 15만대다. 이중 국내 판매량은 7만대다. 한국GM과 르노삼성 등은 아직 친환경차 생산 계획도 잡지 못했다. 플랫폼과 모델 개발에 최소 4~7년이 걸리는데 산술적으로 2030년 450만대 보급은 어렵다.”
미국·유럽·일본도 비슷한데 유독 한국 기업이 취약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뭔가.
“국내 자동차 부품기업 중 82%는 매출 100억원 미만이다. 또 부품 기업 중 46.8%는 엔진과 동력계 관련 기업으로 친환경차 전환 시 직접 타격을 받는다. 이에 더해 한국은 자동차 부품 국산화 비율이 높아 경쟁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자동차 부품 교역액 중 수입 비중은 미국 61.7%(2019년 기준), 독일 38.9%, 일본 19.7%지만 한국은 16.7%다. 수출도 자동차 부품 교역 중 수출 비중은 한국은 83.1%이고 미국은 38.3%다.”
바람직한 미래차 전환 방법이 있나.
“내연기관차가 일정 시간은 캐시카우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 등 내연차 수요가 일정 기간 지속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미래차 전환에서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나.
“경쟁국 정부는 자국 미래차 산업 보호에 발 벗고 나선다. 미국은 지난 9월 전기차 관련 법안을 발의했다. 미국산 배터리 탑재 시 500달러의 추가 혜택을 부여한다. 일본·중국도 친환경차 혜택에 자국산업 우대가 있다. 국내 친환경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상대주의에 입각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