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난해 '굴뚝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전년보다 1/4 덜 뿜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경기도 동두천시의 한 공단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동두천시의 한 공단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주요 '굴뚝 사업장'에서 배출한 대기오염물질이 전년 대비 2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 강화와 시설 개선, 경기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규제 강화·시설 개선·경기 악화 등이 영향 #발전업·충남 등서 배출량 많아…"더 줄일 것"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굴뚝 자동측정기기(TMS)가 부착된 전국 648개 대형사업장이 2020년 한 해 동안 배출한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물질 7종은 모두 20만5091t이다. 2019년과 비교하면 7만2604t(26.1%) 감소했다. TMS는 대형사업장(1~3종) 중 일정 규모 이상인 곳의 배출구에 부착해 대기오염물질을 24시간 자동 측정하는 장치다.

지난해 오염물질별로는 질소산화물이 14만5934t(71%)으로 가장 많았다. 황산화물(25%)과 먼지(2%), 일산화탄소(1%)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인 질소산화물ㆍ황산화물ㆍ먼지 배출량은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 3개 물질은 작년에도 전년 대비 26%가량 줄었다.

최근 5년간 대형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최근 5년간 대형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추이.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정부는 배출허용기준 강화,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신설, 대형 사업장의 자발적 감축 협약 확대 등과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경기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차은철 환경부 대기관리과장은 "오염물질 배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게 오염 방지 시설에 얼마나 투자하느냐와 생산량이 어떻게 변화하느냐다. 작년엔 경기가 안 좋다 보니 주요 업종 생산량과 발전량이 줄어든 한편 업체들의 방지 시설 투자는 꾸준히 이어진 게 크게 작용했다"면서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이 작년 1월부터 새로 부과되고, 배출허용기준 강화가 모든 업종으로 확대 적용된 것도 배출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세부 업종 중에선 발전업의 배출량이 3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시멘트제조업(25%), 제철제강업(22%), 석유화학제품업(9%)의 순이었다. 이들 4대 업종은 모두 2019년 대비 배출량이 감소했다. 발전업은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와 발전량 감소에 따른 석탄 사용 축소, 제철제강업은 오염 방지 시설 개선 등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됐다.

인천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수증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뉴스1

인천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수증기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뉴스1

시도별로는 충남(18%), 강원(18%), 전남(16%)에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비율이 높았다. 충남은 발전업과 제철제강업 사업장이 많고, 강원에는 시멘트 제조업체들이 밀집된 게 영향을 미쳤다. 배출량 상위 10개 사업장의 배출량은 9만4019t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운 45.8%를 차지했다. 이 중 배출량이 가장 많은 곳은 포스코 광양제철소(1만9095t)와 포스코 포항제철소(1만5436t)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대형사업장에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을 앞으로 더 줄이겠다는 목표다. 차은철 과장은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이 단계적으로 강화될 예정이고, 대기오염총량제도 전국으로 확대돼 그 효과가 올해와 내년부터 나타날 것으로 본다"면서 "소규모 사업장에 대해서도 오염 방지 시설 설치를 꾸준히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