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실험 성공' 자축 대규모 집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평양시민과 군인 등 10만여 명이 20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핵실험 성공을 환영하는 군민대회를 열고 있다. [조선중앙TV촬영=연합뉴스]

북한이 11일 만에 핵실험 성공을 자축하는 대규모 군중 집회를 열었다. 20일 평양의 김일성 광장에는 시민과 군인 등 10여만 명이 운집해 핵실험 성공을 축하하고, 미국의 대북 제재 시도를 규탄하는 행사를 했다. 내부 언론을 통해 핵실험 성공 소식을 간단히 전한 것 외에는 조용했던 북한이 침묵을 깨고 나온 것이다. 중국에는 "2차 핵실험을 않겠다"며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던 북한 지도부가 왜 강경 자세로 보이는 축하 행사를 조직했을까.

우선 군중집회로 주민들을 단합시키고 김정일 체제에 대한 충성심을 고취시키려 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가 현실화돼가는 시점에 주민들에게 '핵 보유국'의 자긍심을 심어줘 정권에 대한 믿음과 충성심을 끌어내려 했다는 것이다.

제재가 본격화돼 상황이 악화될 경우 예상되는 주민 동요를 미리 차단하려 했다는 것이다. 주민들이 굶어 죽던 고난의 행군 시절인 1998년 '대포동 1호'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해 주민들에게 강성대국의 믿음을 심어주려 했던 상황과 유사하다.

동시에 국제사회가 대북 제재를 계속해도 결속력을 바탕으로 버티겠다는 의지를 과시하려 했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미국에 '아무리 목을 조여도 단합된 우리 체제를 훼손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다는 것이다. 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앞으로도 제재에 맞서 내부 결속을 다지는 행사를 계속 열 것 같다"고 말했다.

뒤늦은 군중 대회에 대해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핵실험 이후 지금까지 외부 세계의 반응에 촉각을 곤두세웠던 북한이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특사의 평양방문으로 외교 협상을 일단락했다는 판단을 내리고 내부 수습에 나선 것"이라고 해석했다.

유철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