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말하는 안보위협 존재 않거나 과장된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노무현 대통령은 11일 북한의 핵실험 발표에 대한 대응 방안과 관련, "강력한 제재와 대화에 의한 평화적 해결 두 가지 큰 수단을 얘기할 수 있다"며 "그러나 어느 하나를 포기할 수 있는 일은 아니고 두 가지가 적절하게 행사돼야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민주평통 해외자문위원 초청 간담회에서 "각자 가지고 있는 생각에 따라 어느 쪽에서는 강경한 수단으로 가자, 어느 쪽에서는 대화로 가자고 얘기하고 있다"며 "분명한 건 이 두 개가 다 유효하며 어느 하나만 선택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고 했다.

노 대통령의 발언은 핵실험 후 유엔 차원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논의되고 미국.일본.중국이 미사일 발사 때보다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상황에서 대화 병행을 강조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노 대통령은 "남북 관계가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로 바뀌지 않은 상황에서 핵실험이 일어났다고 가정하면 오히려 생필품을 사재기하는 상황이 오지 않겠느냐"며 대북 포용 정책의 유용론을 주장했다

북한 당국의 행태와 관련, 노 대통령은 "북한이 핵을 가지려는 이유가 자신의 안보를 위한 것이라고 하는데 북한이 말하는 안보 위협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대단히 과장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알고 안보 위협을 과장하는 것인지, 진짜 위협이 있다고 믿고 하는 것인지 단정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또 "북한이 진정한 의미에서 평화.안전을 바란다면 무장력도 필요하겠지만 평화의 질서를 구축해야 하고, 주변 국가와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며 "북한 중에서도 북한 정권이 이와 같은 이치를 잘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이 북한 주민과 정권을 분리해 언급한 건 이례적이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