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개혁·이란 핵 등 난제 첩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내년부터 유엔을 이끌 반기문 외교부 장관의 어깨엔 무거운 짐들이 많이 놓여 있다. 당장 이란과 북한의 핵 문제를 비롯해 수단의 다르푸르 사태, 레바논 등 중동의 평화 정착 등 화급한 사안들이 산적해 있다. 세계 최고, 최대의 국제기구 수장이 되지만 그만큼 골치 아픈 문제도 많이 떠안게 되는 것이다.

차기 총장으로서 그는 새로운 국제환경에 맞는 유엔의 위상 재정립이라는 과제도 풀어야 한다. 유엔은 1945년 창설된 이래 냉전시대를 거쳐 미국의 패권시대를 맞는 등 국제 질서가 급변해 왔으나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최근 들어 평화유지군(PKO)의 성추문 사건과 이라크 석유-식량 교환프로그램을 둘러싼 비리가 불거지면서 개혁에 대한 요구가 크게 높아졌다. 1년 전 유엔 창설 60주년 특별정상회의 때 제기된 7대 의제 ^빈곤 퇴치 ^인권 신장 ^반(反)테러 ^인종 청소 방지^군축과 핵 비확산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도 구조 개혁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192개 회원국의 이해를 한곳으로 모으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쟁점 중 하나가 안전보장이사회 개혁안이다. 일본과 독일이 안보리 진출을 시도하고 있고, 개도국들도 발언권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새 사무총장은 중재력을 최대한 발휘해 의견차를 좁히고 생산적인 결론을 도출해 내야 한다. 국제사회의 갈등 조정자로서 내전 지역의 평화 정착과 전후 복구사업과 같은 현안을 관리해야 한다.

관료주의에 젖어 있는 유엔을 효율적인 기구로 변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세계보건기구에서부터 유네스코, 뉴욕본부, 유엔개발계획 등 다양한 기관의 역할과 위상을 재정립하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써야 하는 것도 사무총장의 지도력에 달려 있다.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 금융기관과의 긴밀한 공조도 이끌어 내야 한다. 무슨 일이든 돈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은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