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어도'부근서 새 암초 발견 '딩옌'으로 명명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중국이 제주도 남서쪽에 있는 이어도 부근에서 수중 암초 하나를 새로 발견하고 임시 이름까지 붙인 사실이 중국 측 자료에 의해 확인됐다.

중국 해양출판사가 지난해 9월 발간한 '중국 근해 및 인근 해역의 지형(中國近海及隣近海域地形地貌)'에 따르면 중국은 1999년, 2001년, 2002년 등 세차례에 걸쳐 이어도 주변 해역을 정밀 측량한 결과 새 암초를 발견하고 '딩옌(丁岩)'이라고 임시 작명했다.

새 암초는 한국의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서 동북쪽으로 약 4.5㎞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이어도보다 우리 영토 쪽으로 더욱 가까이에 자리 잡고, 중국 영토로부터는 한층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암초인 셈이다.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있는 이 암초의 크기는 길이 390m, 너비 220m, 면적 0.086㎢ 규모의 말 안장 형태로, 양쪽 끝은 높으면서 뾰족하게 각이 졌고 중간 부분은 낮으면서 작은 돌기가 돋아 있는 형태다. 이 암초의 서북단에서 수심이 가장 얕은 곳은 북위 32도08.819분, 동경 125도13.342분이고, 수심은 26m였다. 또 동남단에서 수심이 가장 얕은 곳은 북위 32도08.76분, 동경 125도13.41분이고, 수심은 28m다.

중국근해지형은 서문을 통해 이 책이 국가해양국의 조직과 지도로 편찬됐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가 직접 제작한 책임을 확인한 셈이다.

이어도는 1900년 부근 해역을 지나던 영국 상선 '소코트라'호에 의해 처음 발견돼 '소코트라 록(Socotra Rock)'으로 세계 해도에 올라 있다. 중국은 이어도를'쑤옌자오(蘇岩礁)' 또는'쑤옌'이라고 부른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이에 대해 "중국과 배타적경제수역(EEZ)의 경계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EEZ 수역이 200해리이고, 이어도가 마라도에서 90해리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어도는 분명 우리 EEZ에 포함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베이징=진세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