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대화·교류 전면중단 우려/북한,금강산 공동개발 거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남정책 강경파 득세한듯/“정주영회장 기증 중장비 못받겠다” 조평통대변인
북한은 지난 16일 평양방송을 통해 지난해 1월 현대그룹과 맺은 금강산공동개발합작계약의 무효를 선언하고 현대건설이 무상으로 공여키로한 건설장비와 승용차도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북한의 이같은 태도는 실질적인 남북교류의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경제교류협력에 대한 정면거부로 보여 주목된다.
평양방송은 이날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의 말을 인용,『금강산공동개발합작계약은 남조선당국의 방해책동으로 인하여 이미 무효로 되었다』면서 『우리는 앞으로 현대그룹과 어떤 거래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관계기사3면>
평양방송은 『그동안 우리와 정주영의 경제합작계획을 승인하지 않고 극력방해하던 남조선 당국자들이 갑자기 무엇을 허가했다고 하니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서 『게다가 그들이 반출을 허가했다는 건설장비에는 무슨 무상공여라는 흉칙스런 말이 들어가 있다』며 장비인수를 거부했다.
이 방송은 『남북사이에 모처럼 맺어졌던 경제합작계약이 수포로 돌아간 책임은 전적으로 남조선당국에 있다』고 비난했다.
정주영현대그룹명예회장은 지난해 1월 북한을 방문,북한의 최수길 대성은행이사장과 ▲금강산공동개발 ▲원산조선소및 철도차량 합작사업 ▲시베리아개발 공동참여에 합의했으며 오는 7월 두번째로 방북해 지난해 계약실현을 위한 세부사항을 북한측과 협의할 예정이었다.
북한이 인수를 거부한 덤프트럭등 중장비와 승용차등 7대는 지난해 방북시 정회장이 무상기증을 약속했던 것으로 지난 9일 부산을 떠나 일본을 거쳐 오는 29일께 북한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북한의 이같은 태도는 콘크리트 장벽철거와 당국·정당 수뇌협상회의를 대화재개의 조건화하면서 남북대화재개를 사실상 무기연기시킨 데 이어 남북간의 경제교류까지 거부한 것으로 대남강경정책을 재확인한 것으로 당분간 남북간 대화나 교류는 중단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17일 『북한이 외화획득을 위해 가장 절실히 원했던 금강산개발까지 거부한 것은 북한내 교류추진 온건파와 대남 대결선동위주의 강경파간의 대립에서 강경파가 득세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