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인의이것이논술이다] 자연계 논술 부활 … 문과 내용 신경 써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내신과 수능이 등급제로 바뀌는 것은 2년 전부터 예고된 내용이고, 따라서 이 둘 이외에 강력한 변별력을 지닌 선발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핵심만 보자면, 입시는 일정한 수의 학생을 대학에서 선발하는 과정이다. 비슷한 성적을 가진 학생이 정원에 비해 많이 몰리면 이들을 가려낼 섬세한 장치가 필요한 법이다. 게다가 수능과 내신을 통해 지원을 결정하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점수대가 비슷한 학생들이 지원할 수밖에 없다. 무리하게 높거나 낮게 지원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내신과 수능으로 가려내지 못한 학생을 대학에서 변별해 내야 한다. 많은 사람이 내신으로, 또는 수능으로 가림으로써 학교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옳지 않은 견해요, 입시를 모르는 사람의 생각일 뿐이다. 추첨으로 뽑지 않는 한, 내신과 수능의 동점자들이 많이 지원하는 상황에서 가려낼 방법은 논술과 구술 등 대학별 고사 말고는 없는 것이다.

문과나 이과 모두 사정이 같지만, 문과는 그나마 논술을 통해 선발해 왔기 때문에 이과에 비해 충격은 덜하다. 하지만 이과는 갑자기 논술을 보게 되었다는 충격에 현 고2 학생을 중심으로 매우 불안해진 상태다. 학원마다 이과 논술에 관한 문의가 빗발치고 있기도 하다.

이과 학생이 지금부터라도 준비해야 할 사항을 간추려 소개하겠다. 우선 형식적으로는 단일 문항이 아닌 여러 문항으로 논술을 치르게 될 것이다. 현재의 고려대 수시 논술이나 성균관대와 이화여대, 숙명여대 등의 수시 논술을 참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량은 150자에서 1000자까지 다양할 것이므로, 지금부터라도 쓰기 연습을 시작해야 한다. 내용이 어쨌건 쓰기가 되지 않으면 입시에 실패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내용적으로는 철학.사회 등 문과 내용과 수학.과학 등 이과 내용이 적절하게 배합될 것이다. 가능한 한 수식과 풀이를 배제함으로써 본고사 논란을 잠재우고 글로 풀어 쓰도록 유도할 것이다. 따라서 출제 가능한 다양한 주제와 내용들을 잘 선택해 미리 써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특히 교과목과 연계된 이과 내용은 학교 공부 속에서 잘 정리해 둘 필요가 있고, 문과 내용은 평소 소홀히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따로 신경 써야 할 것이다. 분량은 길어야 1000자 정도가 될 것이다.

오랜 입시 경험을 통해 자신 있게 말하자면, 완전히 새롭고 엉뚱한 유형의 문제가 출제될 가능성은 제로다. 기출 문제들을 잘 분류하여 대비한다면, 동시에 눈으로만 공부하지 말고 손으로 써가며 공부한다면 아직 시간은 충분하고 2008학년도 입시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김재인 유웨이중앙교육 오케이로직학원 대표강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