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 비상, 관련제약업계 '나 떨고 있니'

중앙일보

입력

대략 800 ̄900억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파스시장에 비상이 걸리면서 관련제약업체들이 매출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단순히 저소득계층인 의료급여 수급권자들이 파스를 오남용해 사회문제화됐다는 선에서 끝나면 문제가 덜할 전망이지만 복지부가 질병 치료의 목적이 아닌 단순 치료보조제의 오남용을 보다 적극 이슈화할 경우 당장 매출에 비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점은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의료급여를 수급하는 환자들의 오남용이지만 자칫 파스가 단순한 치료보조제라고 여론몰이를 할 경우 상당히 위협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즉 그동안 파스 업체들이 다양한 임상결과를 근거로 붙이는 파스가 경구용 관절치료제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여왔다고 밝힌 노력 등이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것.

게다가 여론이 악화될 경우 복지부가 건강보험 급여 품목에 속해있던 파스를 비급여 항목으로 전환시키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서 매출 하락 속도도 비례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더해지고 있다.

이 관계자는 "사태가 어느 쪽으로 튈지 몰라 지켜보고 있는 상태지만 파스가 다른 일반의약품보다 더 빨리 건강보험 적용품목에서 제외된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도 "회사에서 당분간 관망하고 있지만 이번 사태로 비급여 전환 시기 자체가 빨라진다면 매출에 상당한 파급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내부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반면 비급여전환이 늦춰진다면 매출에 대한 영향은 크게 문제되지 않을 전망이다.

이번사태로 당장은 의료급여 수급자에 대한 파스 처방이 줄어들겠지만 이 환자들에 대한 매출 영향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건복지부는 파스의 치료보조제 성격을 부각시키며 오남용시 피부발진, 가려움증, 호흡곤란 등의 부작용을 언급 전격적인 비급여 항목 전환 추진계획을 밝혔다.

또 올해 상반기 중 파스 300매 이상 사용자에 대한 사례관리 강화, 매약행위 등 부정수급 개연성 높은 수급자에 대한 조사, 파스 과장 처방 의료기관에 대한 확인심사 강화 등의 방침을 세워 파스 관리 강화에 칼을 빼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5000매를 초과한 의료기관과 약국의 진료조제 자료를 분석해 이들의 담합이 의심되거나 의료기관은 다른데 특정 약국으로 처방전이 몰리는 등 부당한 개연성이 나타나면 현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지난 21일 복지부가 밝힌 파스 처방 조제 현황에 따르면 작년 한해 의료수급권자 165만명 중 38만명이 파스를 처방, 조제받았으며 이 가운데 500매를 초과하여 사용한 자가 2만7000명, 1,000매 이상 사용자가 5195명, 5,000매를 초과 사용자도 22명으로 이들은 하루에 14 ̄37매를 사용했다. 이로 인해 지출된 의료급여비는 266억원으로 전체 의료급여 약제비(6549억)의 4.03%에 달했다.

국내 파스업계는 태평양제약의 '케토톱', SK케미칼의 '트라스트'가 시장점유율면에서 근소하게 각각 1,2위를 다투고 있으며 3위업체인 제일약품의 '케펜텍'이 뒤를 쫓고 있다.

(서울=뉴시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