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백속 현찰 100억 어디로 갔나] 정치권 반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 최돈웅 의원의 SK 비자금 1백억원 수수가 확인되자 한나라당은 경악했다. 반면 민주당과 통합신당 등은 "그럴 줄 알았다"며 한나라당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崔의원의 완강한 부인으로 설마했던 한나라당 수뇌부는 예상치 못한 '초대형 악재'에 전전긍긍했다. 재신임 정국의 혼돈 속에서 여론의 흐름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까닭이다.

최병렬 대표는 "검찰 발표만 가지고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崔의원을 만나 진상을 확인해 본 뒤 국민에게 정식으로 얘기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홍사덕 총무도 "崔의원을 일단 만난 다음 얘기하겠다"고 입을 다물었다. 이런 가운데 심규철 의원은 "SK 측과 崔의원의 휴대전화 통화를 검찰이 확인한 것 같다"고 말했다.

가장 당혹스러운 쪽은 이회창 전 총재 측이다. 더구나 문제의 비자금이 李전총재 비선조직에 흘러들어갔다는 의혹을 받는 상황이다. 일단 측근들은 "李전총재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며 "李전총재는 전혀 몰랐을 것"이라며 李전총재와의 연관성을 차단하려고 애썼다.

이와 관련, 李전총재는 20일 공항에서 "중상모략"이라며 "문제가 있었다면 후보인 내가 책임지겠다"고 말한 바 있다.

당 일각에선 수뇌부 대응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당이 崔의원 출두를 막아 싸고도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최도술씨 등 노무현 대통령 측근 비리를 집중 공격하기 어렵게 됐다는 아쉬움도 들린다.

소장파들은 이번 사건을 당 쇄신의 계기로 삼자는 반응을 보였다. 남경필 의원은 "개인적 문제는 개인적 문제대로 법의 판단을 받으면 되며 당과 연계된 부분이 있다면 당이 철저하게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민주당 김성순 대변인은 논평에서 "崔의원의 1백억원 수수는 이미 예상했던 일"이라며 "검찰은 비자금 사용처를 철저히 밝혀 깨끗한 정치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李전총재 사조직으로 흘러들어 갔다는 의혹도 제기된 만큼 비자금 규모와 전달 경위를 철저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신당 이평수 공보실장도 "한나라당은 더 이상 오리발을 내밀 게 아니라 지난 대선 때 도대체 얼마나 썼는지를 털어놔야 한다"고 요구했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