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테러조직 관련자 107명 적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국가정보원이 2002년 이후 국제테러 조직과 관련된 혐의자들을 추적해 모두 107명(6건)을 적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은 19일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원혜영 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테러 관련 실적 보고서'에서 한국도 이슬람 과격파의 테러 대상 지역에서 예외가 아니라고 밝혔다.

국정원은 지난해 5월 '헤즈볼라'와 관련된 혐의를 받는 이란계 불법 송금 조직이 활동한다는 첩보를 입수해 이란인 37명과 내국인 49명 등 86명을 적발했다. 헤즈볼라는 중동 지역의 최대 과격 단체로 손꼽힌다. 이들은 테러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에서 600억원대의 자금을 무역대금으로 위장해 다른 나라의 금융 계좌로 불법 송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란인 주범은 국내 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았다. 이 사건은 한국이 이슬람 테러 조직의 자금 조달 창구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국정원은 2004년 5월에도 테러 단체인 '제마이슬라미아'와 관련 혐의가 있는 이슬람 신자들이 한국에 조직을 구축하기 위해 입국한다는 첩보를 입수해 모로코 국적을 가진 8명을 찾아냈다. 국정원은 같은 해 10월 이들을 모로코 정보기관에 넘겼다.

2003년 3월에는 이슬람 테러 단체를 지원한 한국계 미국인도 적발했다. 국정원은 파키스탄 테러 단체와 관련된 한국계 미국인 권모(30)씨를 미 연방수사국(FBI) 한국지부와 함께 추적해 미국으로 출국 조치했다. 권씨는 테러 단체에 가입해 훈련받은 사실이 확인돼 미국 법원에서 11년6개월 형을 선고받았다. 국정원은 또 지난해 10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반미 선동 등 국내법을 위반한 파키스탄인 10명을 적발해 강제 출국시켰다. 이 밖에 국정원은 이슬람 테러 단체 관련자 명단에 올라 있으면서 위조 여권으로 국내에 입국하려던 이슬람인 2명을 공항에서 적발해 강제 출국 조치를 취했다.

현재 국정원은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과 국제 정보기관으로부터 88개국, 5305명의 국제 테러분자 명단을 입수해 출입국 규제 관리자로 분류해 놓고 있다. 원혜영 의원은 "국제적인 테러사건이 올 들어 6월 말까지 1377건이 발생해 지난해 동기(931건)보다 48%나 증가했다"며 "이런 현실을 감안해 국민의 '심정적 거부감' 때문에 추진이 보류되고 있는 테러방지법 제정을 국정원 제도 개혁과 함께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