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없던 '2+2 회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투(Two) 플러스 투(Two)'.

9월 15일 한.미 정상회담의 밑그림은 회담 몇 시간 전에 이뤄진 이 만남에서 그려졌다. 이른바 2+2 회동이다. 한국 측 참석자는 반기문 외교부장관과 송민순 청와대 안보정책실장이었고, 미국 측 참석자는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스티븐 해들리 국가안보보좌관이었다.

두 나라 외교 정책을 책임진 외교 수장과, 외교안보 사안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의 의중을 가장 잘 안다는 청와대와 백악관의 핵심 브레인들의 만남이었다.

송 실장은 이 만남의 의미를 "두 정상이 논의할 내용에 대해 최종 점검을 하는 자리였다"며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 정상에게 한 마지막 보고가 2+2 회동 결과였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측이 이 회동에 어느정도 비중을 두었는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고있다.

한.미 양국이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를 확인하고 9.19 공동성명의 조속한 이행을 추진한다는 정상회담 결과 브리핑도 사실은 이미 이 회동에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시기 같은 민감한 사안들을 정상회담에서 비중있게 거론하지 않기로 한 것도 2+2 회동의 결정이라고 한다. 갈등의 역설적 산물인 셈이다.

2+2 회동은 왜 필요했을까. 이번 회담을 앞두고 미사일 시험발사 등 한.미 간 현안을 바라보는 두 정상의 시각차는 컸다. 물밑에선 한때 정상회담의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일었을 정도다.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공동발표문이나 선언문을 내지 않기로 한 것도 시각차 때문이었다.

그런 만큼 두 정상을 대신해 정상회담 의제와 논의 내용을 사전조율할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했다. 2+2 회동이 부각된 배경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 회동에서 두 정상이 회담에서 주고받을 'talking point(말씀자료)'를 사전에 정리했다"고 말했다. 2+2 회동 후 송 실장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 양국이 취할 '공동의 조치'를 언급했으나 이후 우리 측 정상회담 브리핑에서는 '공동의 포괄적 접근방안'으로 표현되는 등의 변화는 있었다.

워싱턴=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