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전교조, 진심이 뭔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전교조는 "30일 대전에서 열리는 대의원 대회에서 특별결의문을 채택하겠다"고 28일 밝혔다.

특별결의문은 ▶참고서 가격 인하운동 ▶학생 체벌 금지 ▶지역 공부방 활성화 ▶학교 급식 우리 농산물 이용하기 등이 주요 내용이 될 것이라고 한다.

이민숙 전교조 대변인은 "반대투쟁만 한다는 일부의 비난과 편견을 없애기 위해 학생.학부모에게 다가서는 실천운동을 강화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반가운 말이다. 1년에 두 차례 비공개로 열리는 전교조 대의원(496명) 대회의 토의 안건 중 일부를 사전에 공개한 것도 처음이다. 전교조가 이런 조그만 변화라도 보이게 된 것은 7.31 시.도교육위원 선거 때문이다. 전교조 후보들의 무참한 패배는 전교조의 강경 일변도 노선에 대한 국민적 거부감이 반영됐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전교조를 이끄는 대의원들이 30일 모인다. 이 자리에서는 전교조가 진정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위해 뭘 할지에 대해 진지한 고민과 성찰이 많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서 가격을 낮추고, 학생 체벌을 금지한다는 선언도 중요하지만 전교조가 해야 할 일은 그보다 훨씬 더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교조가 28일 배포한 두 건의 보도자료를 보면 좀 어리둥절해진다. 내용은 ①"차등 성과급 반납 규모가 500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모든 학교가 개학하면 반납 투쟁이 더욱 강력히 진행될 것이다" ②"영어.수학 수준별 이동수업은 폐기해야 한다. 이동수업은 곧 우열반 수업으로 귀착된다"는 것이다. 학생.학부모에게 다가가겠다면서 이런 주장을 펴는 게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학생들은 경쟁으로 내몰리는데 교사들은 그 어떤 평가도 못 받겠다는 주장에 동의하는 국민은 별로 없다. 전교조는 "그러니까 학생들도 경쟁시키지 말라"는 소위 '참교육'논리를 내세우지만 거기에 동의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이번 전교조 대의원 대회에서 채택된다는 '특별결의문'이 말 그대로 특별한 것이길 바란다. 전교조의 반성과 성찰을 담았으면 한다. 선거에서 지고 나서 여론을 호도하기 위해 슬쩍 눈가림만 하는 '특별'은 아닐 것이라고 믿고 싶다.

양영유 사회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