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임금 알짜 일자리 7년새 27만개 줄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안정적인 직장으로 인기가 높은 대기업.공기업.금융업에서 지난 7년 사이 27만 개의 일자리가 없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적인 일자리 수는 늘어났으나 임금 수준이 낮은 부문에서 주로 늘어나 전체 근로자에서 저임금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선진국 중 최고인 미국보다 높아졌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일 노동부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30대 대기업집단 소속 계열사와 공기업, 금융회사 등의 종업원 수가 1997년 157만9000명에서 2004년 130만5000명으로 27만4000명이 줄었다고 밝혔다.

전체 취업자 수가 같은 기간 134만 명 늘었는데도 상대적인 고임금과 경력개발 기회가 보장되는 양질의 일자리는 되레 감소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들 3개 부문의 종업원 수가 전체 취업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4%에서 5.8%로 낮아졌다.

종업원 수의 감소 현상은 대기업에서 두드러져 30대 그룹 계열사의 경우 97년 87만9000명이었던 종업원 수가 2004년 67만2000명으로 감소했다. 지난 7년간 무려 20만7000명이 정리해고.자진퇴사 등으로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 공기업과 금융업도 같은 기간 각각 3만1000명, 3만6000명씩 일자리가 줄었다. 2002년 124만5000명까지 줄기도 했던 이들 부문의 종업원 수는 2003년부터 차츰 증가했지만 규모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처럼 양질의 일자리가 줄면서 중위 임금의 3분의 2 이하인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이 2000년 24.7%에서 2005년 26.8%로 높아졌다.

이는 미국(24.9%)보다 높은 수준이다. KDI는 "서비스업의 구조개선, 혁신형 중소기업의 육성을 통해 고급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동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