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中 2분기 성장률 7.9%…투자·생산·소비 부진, 3달만에 반토막

중앙일보

입력

지난 5일 중국 장쑤성 하이안의 한 공장에서 직원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AFP=연합뉴스]

지난 5일 중국 장쑤성 하이안의 한 공장에서 직원이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AFP=연합뉴스]

중국 경제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수출과 투자, 생산 부진 속 소비 회복세도 더디며 2분기 경제성장률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다. 하반기에도 둔화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가장 빠르게 회복했던 중국의 '감속'에 향후 세계 경제의 행로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7.9%(전년동기대비)로 잠정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로이터(8.1%)와 블룸버그(8.0%) 등 외신뿐 아니라 인민은행(8%)과 차이신(財新ㆍ8.1%) 등 중국 금융기관과 언론 전망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중국 경제성장률 변화.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중국 경제성장률 변화.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1992년 이후 3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1분기 성장률(18.3%)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 크게 다가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의 가파른 V자 모양의 회복이 정점에 달했다는 신호”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1분기(-6.8%)의 역성장을 한 중국 경제는 2분기(3.2%)로 ‘V’자 반등에 성공한 뒤 3분기(4.9%)와 4분기(6.5%) 꾸준히 회복 속도를 높여왔다.

중국 월간 산업생산증가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중국 월간 산업생산증가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중국 경제의 성장 엔진이 식어가는 것은 회복을 이끌었던 투자와 생산이 주춤해지면서다. 제조업 및 광업 생산 동향을 보여주는 6월 산업생산(8.3%)은 전달(8.8%)에 못 미치는 증가세를 보였다. 투자 상황을 엿볼 수 있는 누적 고정자산투자(1∼6월)는 12.6% 늘어 1∼5월(15.4%)보다 떨어졌다.

이유는 여러 가지다. 전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급등에다 글로벌 공급망 문제로 자동차 반도체 등 중간제품 수급이 어려운 탓이다. 광둥성 등 중국 남부 산업단지에서 벌어진 전력난까지 겹쳐 생산과 투자 심리가 얼어붙었다. 류아이화(劉愛華) 중국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외부의 불안정한 요인이 많은 데다 중국 내 경제 회복의 불균형 현상도 여전하다”고 말했다.

지난 5월 중국 베이징의 한 쇼핑몰 옆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AP=연합뉴스]

지난 5월 중국 베이징의 한 쇼핑몰 옆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AP=연합뉴스]

소비 회복세도 예상보다 더디다. 6월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12.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달(12.4%)보다 증가율이 낮아졌다. 고용도 마찬가지다. 상반기 도시 지역 신규 고용(698만명)은 1년 전보다 24% 늘었지만 코로나19 발생 전의 737만 명에는 미치지 못했다. 로이터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 심리가 움츠러들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의 ‘상고하저(上高下低)’ 양상이 하반기에 더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노무라증권은 “하반기엔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의 약발이 떨어지는 데다 백신 접종으로 주요 경제선진국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며 중국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 것”이라며 “중국의 성장률이 3분기 6.4%, 4분기 5.3%로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자재값 상승이 이어질 수 있는 데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첨예해지고 있는 미·중 무역 갈등도 경제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 고정자산 투자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중국 고정자산 투자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성장 동력이 떨어지자 중국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적극적인 경기부양에 나서는 이유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지난 12일 “하반기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건전한 통화정책을 통해 실물경제를 지원하겠다”며 지방 정부 특별 채권 발행 등의 정책 시행을 예고했다.

인민은행도 15일부터 금융기관 지급준비율을 9.4%에서 8.9%로 인하했다. 지급준비율은 은행이 예금 중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쌓아둬야 하는 비율로 이를 낮추면 시장에 풀리는 돈이 늘어나게 된다.

로이터는 ”인민은행은 양적 완화 조치가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시장에선 인민은행이 4분기에 지준율을 추가 인하하고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인민은행 대출우대금리(LPR)를 인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돈줄을 더 풀 수 있다는 이야기다.

중국 월간 소매판매증가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중국 월간 소매판매증가율.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블룸버그는 “2분기 부진한 성적표에도 중국이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6% 이상’은 편안하게 달성할 것”이라며 “다만 중국의 경기회복 둔화는 부양책 등에 의존해 경제 회복을 이끌어온 온 국가에 대한 경고도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