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작년 윤석열, 올해는 김오수···검찰총장 찾아가는 中대사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가 지난 21일 오후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을 방문해 김오수 검찰총장과 환담했다고 22일 대검 관계자가 전했다. 외교관인 주요국 대사가 검찰총장을 예방하는 건 흔치 않은 일로, 김 총장 취임 이후엔 처음이다.

한·중·일 '3국3색' 검찰 교류 #하야시 日총장, 취임축하 서한

싱 대사는 전날 오후 3시쯤 김 총장에게 취임 축하 인사를 전하기 위해 대검을 찾았다. 같은 시각 대검 현관 전광판에는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의 방문을 환영한다’는 내용의 중국어 문구가 걸렸다. 접견에는 대검 박성진 차장검사, 예세민 기획조정부장, 구승모 국제협력담당관 등이 배석했다.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지난 21일 김오수 검찰총장을 예방했다. 사진은 싱 대사가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 중구 소월로 밀레니엄힐튼 호텔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100년과 중국의 발전 세미나에 참석해 발언하는 모습. 뉴스1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가 지난 21일 김오수 검찰총장을 예방했다. 사진은 싱 대사가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 중구 소월로 밀레니엄힐튼 호텔에서 열린 중국공산당 100년과 중국의 발전 세미나에 참석해 발언하는 모습. 뉴스1

김 총장과 싱 대사는 사전에 조율한 별도의 의제 없이 한·중 수사당국 사이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자는 덕담을 주고받았다고 한다. 대검 관계자는 “주요국 대사가 검찰총장을 예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싱 대사가 부임 후 활동이 왕성한 편이라 지난해 9월에도 윤석열 당시 총장과 접견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구승모 담당관은 “과거엔 검찰총장과 중국 공안부장이 상호 왕래했을 정도로 국제 사법공조, 범죄인 인도 등에서 대검과 중국 공안부의 교류가 굉장히 활발하다”며 “코로나19팬데믹 이후 물리적 교류가 막힌 상황이지만, 사건 협력 등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차원에서 싱 대사가 방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오수 검찰총장이 지난 16일 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을 예방하기 우해 서울 안국동 헌법재판소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김오수 검찰총장이 지난 16일 유남석 헌법재판소장을 예방하기 우해 서울 안국동 헌법재판소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실제 한국 대검과 중국 공안부는 2011년 ‘형사법 집행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부터 보이스피싱 범죄 단속과 도피 범죄인 강제송환 등 수사 공조 관계를 맺어왔다. 2014년엔 한·중 수사협의체를 구성해 사후 공조 방식이었던 협력 시스템을 실시간 공조로 바꿨다.

이를 통해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의 공범 강태용의 범죄수익 약 2억8000만원을 한국에 반환토록 하는 등 성과를 내기도 했다. 중국 정부가 범죄수익을 해외에 반환하는 첫 사례였다. 2017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로 한·중 갈등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도 중국 공안부 수사관 2명이 3개월간 한국 대검에서 파견 근무를 하기도 했다.

하야시 마코토(林眞琴) 일본 검사총장(한국의 검찰총장)은 최근 김오수 검찰총장에게 취임축하 서신을 보냈다. 사진은 하야시 총장이 지난해 5월 도쿄고검장 취임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교도통신=연합뉴스

하야시 마코토(林眞琴) 일본 검사총장(한국의 검찰총장)은 최근 김오수 검찰총장에게 취임축하 서신을 보냈다. 사진은 하야시 총장이 지난해 5월 도쿄고검장 취임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교도통신=연합뉴스

양국 검사를 대사관에 상호 파견하는 방식으로 교류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하야시 마코토(林眞琴) 검사총장(한국의 검찰총장)이 최근 김 총장에게 취임을 축하하는 편지를 보냈다. 하야시 총장은 지난해 7월 도쿄(東京)고검장에 취임한 지 2달 만에 검사총장으로 영전해 화제를 모았던 인물이다.

하야시 총장은 지난해 5월 도쿄고검장 취임 기자회견 때 전임자인 구로사와 히로무(黑川弘務) 고검장이 친(親)정부 성향으로 평가받은 것과 관련, “(정치와 검찰이) 가까워지면 공정성을 의심받을 수 있는 만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며 ‘국민 신뢰’를 20차례나 강조해 주목받기도 했다. 2010년 오사카(大阪)지검 특수부 증거조작 사건 이후 ‘검찰개혁’ 작업을 주도한 이력은 김 총장이 문재인 정부 초기 법무부 차관으로 재직하며 ‘검찰개혁’ 현안을 챙겼던 것과 비슷하다.

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