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부 "美기술ㆍ韓생산능력 결합해 전세계 백신 공급할 것”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한미 백신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다. 미국의 백신 기술과 한국의 생산 능력을 결합해 전세계에 백신을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마리나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9차 헬스케어 미래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도태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마리나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9차 헬스케어 미래포럼'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은 16일 서울 여의도 마리나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9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바이오헬스 산업을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희귀ㆍ난치 질환의 원인 규명과 개인 맞춤형 신약 개발을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 국제 기준에 맞지 않는 규제는 강하게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차관은 “전세계 78억 인구가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백신이 간절하지만, 백신 공급은 수요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우리 정부는 미국 정부와 한미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합의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백신 기술과 우리의 생산 능력을 결합해 전세계에 백신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강 차관은 “바이오 역량을 기반으로 우리나라를 글로벌 백신의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해 정부는 모든 자원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들은 백신 기술과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시스템과 정보시스템, 의약학 분야에 우수한 인재를 가져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는 보건복지부와 더불어민주당 백신치료제특별위원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관으로 개최됐다. 지난 5월 21일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합의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과 관련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전혜숙 민주당 백신치료제특별위원회 위원장은 미국 정부의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을 언급하며 “미국은 백신 개발사에 막대한 지원을 하며 워프 스피드 작전을 펼친 끝에 세계 최고의 백신 국가가 됐다”라며 “정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워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백신 허브를 위해 정부가 지원할 때는 지원 대상 선정은 까다롭게, 지원을 할땐 조건 없이 아낌없이 해줘야 한다”하고 제안했다.

이날 기조 강연을 맡은 강대희 서울대의대 교수(서울대 코로나19 과학위원회 위원장)는 국무총리실 급의 ‘바이오헬스실’을 신설하고, 재정과 인적자원을 실행하는 조직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토론에선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묵현상 단장이 국산 백신 개발와 정부 지원의 한계를 언급했다. 그는 “현재 5개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이 개발중이고 올해 정부가 680억원을 지원했다”라며 “3상에 들어가야 하는데 비교임상을 하더라도 각 900억원 가량 들어간다”라고 말했다. 묵 단장은 “기업에선 정부가 다 대달라고 하고 정부는 될성부른 나무에 75프로 지원해주려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언제까지나 예산으로 민간에 퍼줄 수는 없다”라며 “정부 예산은 마중물 역할을 하고 퍼블릭 파트너십 펀딩을 해서 민간 투자를 끌어오고 이익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임종윤 이사장(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은 미국의 백신 지식재산권 면제가 가시화될 경우 국내 제약사 연합이 코로나19 백신의 제네릭(복제약)을 신속하게 생산할 능력이 있다고 밝혔다. 임 이사장은 “국내에서 (mRNA백신의) 공정에 대해 마스터한 회사가 2개 이상인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만약 미국이 화이자ㆍ모더나의 지재권을 일시 면제해주거나 돈을 내고 쓸 수 있게 해준다면 저희가 최단시간 내에 국내 기업이 힘을 합쳐서 대략 올해 안에도 5000만~1억 도스(회분)을 만들 수 있을거라 본다”라고 전망했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