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상의·전경련 이어 경총도 ESG조직 신설…‘우후죽순’ 난립 우려

중앙일보

입력

2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차 ESG 경영위원회에서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을 비롯한 참석 기업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26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차 ESG 경영위원회에서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을 비롯한 참석 기업 대표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기업 경영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경제단체들이 잇따라 관련 조직을 신설하고 있다. 이들이 모두 주요 기업의 참여를 요청하고 나서면서 재계는 벌써부터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제1차 ESG 경영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위원회에는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을 포함해 주요그룹 18개사 사장단이 참여했다.

경총, ESG 경영위원회 개최 

이들은 손경식 경총 회장을 위원장으로 추대하고 기업의 환경·사회적 책임을 준수하고 투명하고 윤리적인 경영체계를 확립하겠다는 내용의 ‘ESG 자율경영 실천을 위한 공동선언’과 위원회 운영규정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위원회는 상반기와 하반기 각 1회씩 연 2회 개최할 예정이다. 분기별로는 각 기업의 ESG 전담 부서장이 참여하는 실무위원회를 열어 경영계 자율 권고와 지침을 마련하고 평가지표에 대한 개선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목표는 최근 전개되는 ESG 관련 논의에 재계의 입장이 적극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손 회장은 인사말에서 “비재무적 요소인 ESG가 기업경영의 필수 요소로 부상하는 등 기업을 바라보고 평가하는 기준이 더 많아지고 높아졌다”며 “경영계 고위급 거버넌스인 ESG 경영위원회를 통해 초기 단계의 ESG 경영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기업 주도의 자율경영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점검과 개선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의결권 행사 등 적극적인 주주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국민연금 측과 정기적인 소통채널도 구축할 예정이다. 국민연금이 수탁자책임 활동의 일환으로 결정하는 비공개 대화와 별개로 ESG 경영과 관련해 논의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경영 불확실성을 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대한상의·전경련도 ESG 조직 발족

지난 20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전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리스크 관리 및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지난 20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상의 ESG경영 포럼은 전세계적으로 경제·경영·사회 전반에 걸쳐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대응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리스크 관리 및 정책지원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이에 앞서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도 경총과 유사한 ESG 조직을 발족한 바 있다. 대한상의는 지난 8일 산업통상자원부, 법무법인 화우와 공동으로 제1차 ESG경영 포럼을 개최했고 지난 14일 2차 포럼도 진행했다. 포럼에는 현대차, SK, 포스코, KT 등 주요 기업의 임원이 참석했다. 최근 기업문화팀을 ESG경영팀으로 개편한 대한상의는 정기 포럼을 통해 ESG의 개념을 정립하고 경영 전략과 정책 지원방법을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전경련도 지난 14일 ‘K-ESG 얼라이언스’를 구성하고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을 의장으로 선임했다. 분기별 회의를 통해 회원사들과 ESG 경영전략을 공유하고 글로벌 ESG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다.

ESG 개념과 평가 지표부터 확정해야 

경제단체별로 ESG 조직이 신설되자 재계는 벌써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단체별로 회원사가 겹치는 경우가 많아 이들 조직에 중복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각 조직이 내세운 목표도 큰 차이가 없다.

재계는 서로 다른 ESG 조직이 각기 다른 개념을 내세울 경우 일선 현장에서는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기업의 목소리를 대표하는 창구가 난립하며 정부와의 소통에 있어서도 혼선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기업 관계자는 “ESG에 대한 개념 자체가 명확히 정립되지 않아 각종 평가지표가 충돌하는 등 혼선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단체별 ESG 조직까지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며 “창구를 단일화하고 정부와 협업해 국제 기준에 맞는 개념 정립과 평가 방식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경미 기자 gaem@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