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조류독감 확산 대책 긴급 논의

중앙일보

입력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아시아에 이어 유럽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지구촌의 재앙을 막기 위해 전 세계 30개국 보건장관과 국제기구 전문가들이 캐나다 수도 오타와에 모였다.

24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세계 유행성 독감 대책'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치명적인 조류독감 바이러스인 H5N1이 변이를 일으켜 사람 사이에 쉽게 퍼질 수 있는 유행성 독감으로 돌변하는 사태에 대비해 국제적인 협력을 모색한다.

이 회의에서 다뤄질 주요 의제는 ▲ 동물끼리 혹은 동물에서 인간에게 조류독감이 확산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대책 ▲ 초기 단계에서 바이러스를 적발하기 위한 감시체계 개선 ▲ 백신의 개발과 보급 ▲ 유행성 독감의 발생 전후 적시에 정확한 정보의 공유 등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이종욱 사무총장은 회의 개막 연설에서 전 세계를 휩쓸 다음 번 유행성 독감은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다"며 이 유행성 독감은 "조류독감 바이러스에서 올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 사무총장은 "우리의 고민은 조류독감이 인체독감의 새로운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인체독감 바이러스로 변이를 일으킬 경우 신속한 대책을 취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감시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자크 디우프 사무총장은 "우리는 두 개의 전선에서 이번 싸움을 벌여야 한다"며 "현재 진짜 전쟁터는 동물 전선에 있다"고 강조했다.

디우프 사무총장은 "예방이 치료보다 훨씬 돈이 덜 든다"며 "약국과 병원에서 병과 싸우기 위해 기다리지 말고, 농가 뒷마당에서 먼저 바이러스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FAO는 가금류 및 야생조류의 조류독감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 주민 보건교육, 감염 농장주 보상, 검사장비 추가 확보, 동물백신 개발 등 사업을 실시하는데 2억달러의 비용이 필요하다며 각국 정부의 지원을 호소했다. FAO는 당장 이번 주 후반부터 일차로 5천만달러를 모금하는 캠페인을 펼칠 계획이다.

2003년 사스 파동으로 한 차례 홍역을 겪은 캐나다의 폴 마틴 총리는 조류독감 변종으로 인한 지구촌의 비극을 막기 위해 부국들이 가난한 나라와 유행성 독감 대책, 독감 검사, 치료제 등을 공유할 의무가 있다며 "근본적인 문제는 어떤 한 나라도 이 문제를 혼자서 처리할 수 없으며, 세계가 협력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러시아, 루마니아, 터키 등지에서 조류독감 바이러스가 발견된 가운데 유럽연합(EU) 관리들도 24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회의를 열고 조류독감 확산 저지 대책을 논의했다.

유럽 관리들은 조류독감 발발시 유럽이 아시아보다 경제적, 기술적으로 더 잘 대처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조류독감에 대처하는 아시아의 성공과 실패를 통해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번주 전 세계에서 야생조류의 수입을 일시 금지하는 조치를 제안할 계획이라고 마르코스 키프리아누 보건 담당 집행위원은 24일 밝혔다.

집행위는 25일 브뤼셀에서 열리는 EU 식량안보위원회 회의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한 뒤 최종 결정을 내릴 방침이다.

(오타와.코펜하겐 AP.dpa=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