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년을 기다린 선물…백신과 함께 '허그 열풍'이 돌아왔다 [영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해보세]는 '해시태그로 보는 세계'의 줄임말로, 소셜미디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해시태그를 키워드로 글로벌 이슈를 전하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HUGS

"오 세상에. 귀염둥이, 어서 오렴"

[해보세]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할머니를 알아본 세 살짜리 손주 트랙스가 달리기 시작합니다. 그리곤 할머니의 품에 쏙 안깁니다. 할머니는 기쁨을 주체하지 못한 듯 아이를 번쩍 들어 올리며 연신 "보고 싶었다"고 말합니다. 이를 바라보는 엄마도 흐뭇한 웃음을 짓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거의 1년여 만에 맘 놓고 손주를 안아보는 할머니의 모습. 페이스북에 영상을 올린 트랙스의 엄마 캘시 차발라는 “이것이 백신을 맞는 이유”라는 제목을 달았습니다.

백신 접종을 마치고 1년 만에 맘놓고 포옹한 가족. 딸은 "생일 소원이 이뤄졌다"며 기뻐했다. [틱톡 @glimmerfae]

백신 접종을 마치고 1년 만에 맘놓고 포옹한 가족. 딸은 "생일 소원이 이뤄졌다"며 기뻐했다. [틱톡 @glimmerfae]

지난달 28일 클라우디아 펠릭스라는 사용자가 틱톡에 올린 포옹 영상은 4만 5000여개의 공감을 받았습니다. 백신 접종을 마친 그는 부모님을 찾아가 부둥켜안습니다. 그 역시 1년 만의 포옹이라며 감격해 합니다.

불과 몇 개월 전만해도 전혀 다른 포옹 장면들이 화제가 됐었죠. 비닐 가림막을 사이에 둔 안타까운 포옹, 일명 '코로나 허그'(#COVIDHUG)였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미국인이 지난해 7월 11일 인스타그램에 포옹을 위해 마스크와 비닐로 중무장한 룸메이트의 사진을 올렸다. 게시물엔 '#COVIDHUG' 해시태그가 붙었다. [인스타그램 @shetman Oaks]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미국인이 지난해 7월 11일 인스타그램에 포옹을 위해 마스크와 비닐로 중무장한 룸메이트의 사진을 올렸다. 게시물엔 '#COVIDHUG' 해시태그가 붙었다. [인스타그램 @shetman Oaks]

하지만 백신 접종률이 20% 넘긴 미국에선 이제 수식어가 붙지 않은 ‘포옹'(#HUG) 이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되기 전 방역 차원에서 비닐 커튼을 사이에 두고 할아버지와 손녀가 포옹하는 모습. [틱톡 @meaghanmarie28]

지난해 11월, 코로나19 백신 접종 시작되기 전 방역 차원에서 비닐 커튼을 사이에 두고 할아버지와 손녀가 포옹하는 모습. [틱톡 @meaghanmarie28]

가까운 이들과의 포옹이 백신 접종으로 되찾은 '일상의 상징'이 된 것입니다.

#VACCINATE

'포옹 열풍'의 물꼬를 튼 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8일 내놓은 새로운 거리두기 지침입니다. 백신을 맞은 가족끼리는 실내에서도 마스크 없이 모일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죠.

이 지침에 많은 이들이 가장 먼저 할머니, 할아버지들 떠올린 건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겁니다. 코로나19 이후 특히 가까이 가기 어려웠을 테니 말입니다.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사라 마리는 할머니를 껴안는 장면을 트위터에 올렸다 [트위터 갈무리]

지난달 11일(현지시간) 사라 마리는 할머니를 껴안는 장면을 트위터에 올렸다 [트위터 갈무리]

애리조나주에 사는 사라 마리도 트위터에 할머니와 나눈 포옹 영상을 공유하며 “할머니, 할아버지를 안을 수 있게 꼭 백신을 맞자”고 접종을 독려합니다.

#IsItOverYET

오랜만에 맞은 행복한 순간이지만, 아직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포옹과 함께 ‘아직 끝나지 않았다(#IsItOverYET)’는 해시태그를 함께 붙인 게시물들이 눈에 띕니다.

코로나19로 만나지 못했던 손녀(왼쪽)와 할머니가 1년 만에 재회해 기쁨의 포옹을 나누고 있다. [틱톡@stacy.dascher]

코로나19로 만나지 못했던 손녀(왼쪽)와 할머니가 1년 만에 재회해 기쁨의 포옹을 나누고 있다. [틱톡@stacy.dascher]

지난 9일 트위터에 할머니와 손녀의 포옹 장면을 올렸던 제시카 쇼는 “우리는 아직 마라톤의 중간 지점에 있다. 이 장면이 우리가 조금이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연료가 되길 바란다”는 코멘트를 남겼습니다.

이민정·석경민 기자 suk.gyeo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