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프리카에서는 미-중 화해 가능? 이런 전망 나오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아무리 싫어도 필요하면 손을 잡는 게 국제사회의 변하지 않는 법칙이다.

[미-중 패권 경쟁은 어디로] (3) 아프리카에서는 미-중 화해 가능? 이런 전망 나오는 이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역시 이를 피해 갈 수 없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외교정책에 대해 연설하는 자리에서 “중국과의 관계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보고 있다”고 명확히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그 뒤에 이런 얘기를 덧붙였다. “미국의 국익을 위해서 베이징과 협력할 게 있다면 언제든 협력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언제든 손잡을 수 있다는 메시지다.

그런데 어디서, 그게 가능할까.

‘아프리카 대륙’이 어쩌면 미-중 협력의 장이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 외교전문지 더 디플로맷은 최근 보도에서 “아프리카 대륙은 워싱턴과 베이징의 경쟁이 치열한 곳 중 하나지만, 오히려 두 나라가 협력할 가능성이 매우 큰 곳이기도 하다”며 이같이 전했다.

중국 백신을 맞은 짐바브웨 부통령 [AFP=연합뉴스] ?

중국 백신을 맞은 짐바브웨 부통령 [AFP=연합뉴스] ?

실제로 아프리카에서 두 나라가 협력한 사례가 있다.

‘해적’ 때문이었다.

2008년 중국이 해적 소탕을 위해 아덴만(아라비아반도의 예멘과 동아프리카의 소말리아 사이의 만)에 해군 함정을 파견했을 때 얘기다. 당시 ‘전 세계 해양 안보’를 기치로 내걸고 아프리카 해안에서 미군과 중국군 그리고 국제협력군이 손을 잡았다. 더 디플로맷은 “향후 협력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소개하고 있다.

유엔(UN) 평화 유지 활동에서도 양국 협력이 광범위하게 이뤄진 바 있다. 미국이 유엔 활동에 가장 큰 지원자란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 그런데 중국 역시 점점 역할을 키워가고 있어서다. 중국은 현재 남수단과 말리 등에 인력을 배치하고 있다. 유엔 평화 유지 활동 중 하나다.

지난 2018년 에드거 룽구 잠비아 대통령과 만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지난 2018년 에드거 룽구 잠비아 대통령과 만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때문에 내전이 끊이지 않는 아프리카에서 평화를 유지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둔다면, 미국과 중국 간 정치적 협력을 강화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설명이 나온다. 두 강대국 간 군사적 경쟁은 계속 심화되겠지만 해양 안보, 유엔 평화 유지 활동은 두 나라의 안보 협력 영역이 될 가능성이 크단 얘기다.

어느 한 곳도 양보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무역과 투자 부문에서도 전망이 나쁘지 않다.

예상외로 “아프리카에서 양국 관계는 예상보다 덜 경쟁적이고 심지어 상호보완적”이란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나이로비에서 코로나19 검사가 진행되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나이로비에서 코로나19 검사가 진행되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일단 두 나라가 가까이 대하고 있는 나라가 다르다.

미국은 나이지리아, 모리셔스,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가나 등을 지원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남아공, 콩고민주공화국, 잠비아, 앙골라, 에티오피아와 돈독한 편이다. 양국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분야도 다르다. 미국이 광업과 보건ㆍ교육 분야에 중점을 둔다면, 중국은 건설ㆍ제조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직접적인 경쟁은 그리 많지 않다.

그렇다면 두 나라는 아프리카에서 앞으로 어떤 협력을 할 수 있을까.

아프리카질병통제예방센터 [로이터=연합뉴스]

아프리카질병통제예방센터 [로이터=연합뉴스]

“아프리카 국가들 곳곳에 깊게 뿌리박힌 부패를 척결하는 데서 협력을 시작할 수 있을 것”(더 디플로맷)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뿐더러 이 대륙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양국에도 ‘윈윈’이 될 수 있어서다.

국제사회는 무엇보다 ‘공중보건’ 분야에서 두 국가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이미 후천성면역결핍증(AIDS)과 에볼라와의 싸움에서 협력한 전력도 있다. 아프리카질병통제예방센터가 미-중 협력의 결과물이다.

어마어마한 가능성의 대륙에서 미국과 중국이 이곳 국가들과 함께 ‘상생을 위한 협력’을 제대로 해나갈 수 있을지, 바이든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이를 이끌어갈지 지켜볼 일이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