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식품, 민간요법 등 과학적 근거 마련할 것

중앙일보

입력

"건강기능 식품을 포함해 보완의학이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막는 거름 종이 역할을 하겠습니다."

보완대체의료를 연구하고,임상에 활용하는 15개 의대 교수와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대한보완대체의학회'가 창립됐다. 학회의 결성은 우후죽순 쏟아지는 각종 비방과 대체요법.건강기능식품 등을 정통의료라는 제도권에 수용하겠다는 의사들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 자리에서 이사장으로 선임된 가천의대 길병원 이성재(53.통합의학센터.사진) 교수.

그는 무엇보다 정통의료와 배치되는 각종 요법과 건강기능 식품의 과열 현상을 우려한다.

"국민들은 1년에 10조 이상의 돈을 효능이 없거나 입증되지 않은 치료에 쏟아붓습니다. 의료비 낭비뿐 아니라 치료 기회를 놓치거나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지요."

따라서 학회의 업무도 갖가지 요법과 기능식품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국민을 계몽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물론 근거가 있는 것들은 치료에도 적극 권장할 방침이다.

"현재 대한의사협회 산하의 보완의학전문위원회에서 전문가 8명이 8개월째 검증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효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가려 치료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표준화해 처방지침도 낼 예정입니다."

한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영역 종사자들과의 공조에도 그는 유연성을 보인다.

"단체 간의 갈등과 기득권 주장은 국민을 위해 결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국민의 신뢰감을 잃을 뿐 아니라 영리 수단이 될 경우 국민 의료비를 오히려 증가시킬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른 영역의 전문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해 보완의학의 올바른 정착에 힘을 모으겠습니다."

학회 창립은 대정부 창구가 일원화됨으로써 의사들의 목소리에 무게가 실렸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보완대체의학회가 1997년 만들어진 보건의학회와 한국대체의학회를 통합함으로써 회원 수 3000여명의 대규모 학회로 성장할 전망. 학회는 보완대체요법을 합법적으로 시술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에 법과 제도 마련을 요구할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