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암환자 건보적용 항목 전액 지원 추진

중앙일보

입력

내년부터 저소득층 암환자의 치료비 본인 부담이 많게는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저소득층 암환자가 막대한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해 방치되거나 가정 파탄이 빚어지는 등 암환자 관리로 인한 고통이 크다고 보고 건강보험 적용 항목에 대해선 정부가 전액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의 경우 건강보험 적용분 가운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급액이 1조1천여억원, 본인 부담액이 2천700여억원으로, 환자 본인이 내야 하는 비급여 항목 지출은 5천200여억원이 될 것으로 각각 추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가입자 중 하위소득 15%이내의 저소득층과 의료급여 수급자에 대해 국가암조기검진사업에서 암에 걸린 것으로 판명나면 건강보험 본인 부담액을 전액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환자는 건강보험 비급여 항목에 한해 치료비를 내게 됨에 따라 평 치료비가 많게는 절반 가까이 줄어들게 된다.

국가암조기검진사업은 암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위암과 유방암, 자궁경부암, 대장암, 간암 등이 사업 대상이다.

저소득층 암환자 지원 경비는 담뱃값 인상을 통해 마련되는 재원으로 조달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흡연과 관련성이 높은 폐암의 경우 이를 조기 발견해도 완치가 거의 되지 않는 특성 등을 감안, 이번 지원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복지부측은 "통상적으로 암에 걸리면 연간 환자 본인 부담몫이 500만원 정도 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면서 "기획예산처와 협의를 거쳐 저소득층 암환자 지원 방안을 최종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