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지방 DOWN 건강 UP] 꾸준한 운동만이 "뺄 길" 이다

중앙일보

입력

황제 다이어트, 강냉이 다이어트, 녹차 다이어트부터 배꼽에 단추를 붙이고 다니는 단추 다이어트, 입에 물을 넣고 뿜어주는 물뿜기 다이어트까지….

잠시 등장했다 사라진 것까지 합치면 지구상에는 무려 3만개 이상의 다이어트 방법이 있다고 한다. 그 중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만 해도 3000여가지. 그러나 LG스포츠과학정보센터 소장 성기홍 박사의 말에 따르면 지금까지 가장 확실하게 검증된 다이어트는 단 세가지뿐이란다.

바로 ▶생활습관 고치기 ▶식사습관 고치기 ▶꾸준히 운동하기. 아무리 운동을 열심히 해도 바람직한 생활.식사습관이 받쳐주지 않으면 피땀 흘린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게 마련이다. week&은 가상의 28세 여성, 활동파 A씨와 '귀차니스트' B씨의 하루 일과를 통해 생활습관이 체지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봤다.

매일 아침 30분씩 집 앞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걷기 운동을 하는 A씨. 자가용이 있지만 항상 지하철을 이용해 출근한다. 열차 안에선 자리가 나도 절대 앉지 않고 도착한 뒤에도 에스컬레이터를 타지 않고 꼭 걸어서 올라간다. 사무실까지 계단을 이용하는 건 물론이다.

항상 자가용으로 이동, 엘리베이터를 타고 사무실 입구까지 도착하는 B씨보다 출근시간에만 133㎉의 에너지를 더 소비하는 셈이다.

근무 중에도 틈틈이 스트레칭을 하며 절대 간식은 입에 대지 않는 게 A씨의 철칙. 점심시간에도 일부러 조금 떨어져 있는 주변 맛집을 찾아 걸어간다. 움직이기 싫어 항상 구내식당만 가는 B씨에겐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A씨는 TV 드라마를 누워서 보는 법이 없다. 항상 꼿꼿한 자세로 보다가 중간중간 스트레칭.맨손 체조도 곁들인다. 취침 전 반신욕 30분도 이젠 습관이 됐다. 소파에 누워 TV를 본 뒤 밤늦도록 인터넷 게임을 하다 지쳐 잠드는 B씨, 운동은 고사하고 야식으로 라면이나 안 먹으면 다행이다.

이렇게 생활습관을 다진 A씨의 하루 신체 활동량은 720㎉. B씨와는 무려 577㎉나 차이가 난다.

만일 B씨가 A씨를 따라잡기 위해 밤마다 줄넘기를 한다면 필요한 운동시간은 2시간21분. 줄넘기가 지겹다면 걷기(2시간 37분)나 에어로빅(4시간11분), 팔굽혀펴기(5시간)를 해도 좋다. 단 시간이 허락한다면 말이다.

◆일상 생활에서 살빼기

■ 버스.지하철을 이용할 때 한 정거장 미리 내려 걸어간다. 탈 때도 마찬가지, 한 정거장 정도 걸어간 뒤 탄다.

■ 3층 정도는 계단을 이용하자. 복근운동을 위해 아랫배에 힘주고 발끝으로만 걷는다.

■ 주차는 되도록 멀리한다.

■ 점심 식사 때도 먼 곳에 있는 식당을 찾아간다.

■ 하루에 반드시 30분 이상(2㎞ 정도) 걷도록 노력한다.

■ 급해도 다른 층에 있는 화장실을 이용한다.

■ TV 볼 때 광고시간마다 스트레칭 체조를 한다.

■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가능하면 서 있자. 서서 발꿈치를 올렸다 내렸다 반복하면 발목도 날씬해진다.

■ 옷을 입고 벗을 때마다 큰 거울 앞에서 자신을 체크한다.

■ 앉아 있을 때는 아랫배에 힘 주고 허리를 곧게 편다. 축 늘어져 앉아 있을 때와 에너지 소비가 다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