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개성공단 중단 5년…입주기업 매출 줄고, 15곳은 휴·폐업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개성공단 일대의 모습. [연합뉴스]

2016년 이후 가동 중단 5년째를 맞는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 중 16곳이  휴·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중소기업중앙회는 "개성공단 입주사 124개사를 대상으로 ‘개성공단 가동중단 5주년 입주기업 조사’를 한 결과 서류상으로만 유지 중인 휴면 기업이 11곳, 폐업 기업이 5곳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상 영업 중인 기업은 99곳이었다. 나머지는 응답을 거절했거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기업 111곳 중 77%는 공단 가동중단 직전 연도인 2015년 대비 2020년 매출액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20년 기준 매출액 5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기업들은 매출액이 평균 107억원에서 66억원으로 줄었다. 또 50억원 미만 소기업은 매출액이 평균 65억원에서 16억원으로 76% 감소했다.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가동중단 타격이 컸다.

지난해 6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직후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6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직후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의 모습. [연합뉴스]

응답 기업들은 가동중단 이후 민간 내수 판매처를 확대(79%)하거나 수출·해외시장에 진출(37%)하고, 방역용품 제조 등 신규사업에 진출(26%)하는 등다양한 노력을 해왔다고 했다. 또 개성공단 입주 기업 5곳 중 1곳(39%)은 가동중단 이후 ‘부채 누적에 따른 추가 자금조달 곤란’을 경영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이외에는 ‘판로 및 거래처 발굴 애로’(29%), ‘주요 경쟁국 대비 가격경쟁력 저하’(20%) 등이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 기업 대다수(92%)는 개성공단을 재개하면 다시 입주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정부와 북측의 재개 조건에 따라 상황판단 후 입주하겠다’는 응답이 53%, ‘즉시 재입주하겠다’는 기업은 39%였다. 재입주 시 예상되는 유지보수 비용은 평균 11억7300만원, 추가투자 비용은 12억8800만원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재입주 시 ‘기계설비 등 시설 보수비용’(37%)이나 ‘경협보험금 등 일시상환’(36%), ‘경영안정 리스크 해소를 위한 법제도 미비’(16%) 등이 문제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2016년 2월 정부 개성공단 전면가동중단 발표 다음날 통일대교 모습. [중앙포토]

2016년 2월 정부 개성공단 전면가동중단 발표 다음날 통일대교 모습. [중앙포토]

한편 기존 개성공단 입주 기업 중 절반가량(46%)은 공단 운영이 재개될 경우 ‘정부 결정에 대한 기업 피해 보상근거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군사적 관계와 기업 경영 분리’를 요구하는 기업도 32%나 됐다. 또 응답 기업 5곳 중 3곳(59%)은 ‘향후 공단 재개 시 해외 기업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6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대북전단 살포 금지 및 4대 공동선언 비준 동의 촉구 긴급 기자회견'에서 대북 전단(삐라) 살포 금지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지난해 6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대북전단 살포 금지 및 4대 공동선언 비준 동의 촉구 긴급 기자회견'에서 대북 전단(삐라) 살포 금지를 촉구하고 있다. [뉴스1]

문창섭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은 “개성공단 폐쇄 결정에 따른 영업손실 등에 대한 피해보상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고 폐쇄 기간이 길어지면서 해외로 떠나거나 어려움을 견디지 못하고 폐업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며 “입주기업의 재기 지원을 위한 추가지원과 보상이 절실하다”고 했다.

이병준 기자 lee.byungjun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