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난자서 줄기세포 배양] "국내 연구진, 의학교과서 통설 깼다"

중앙일보

입력

국내 연구진이 현행 의학교과서에 실린 '심장운동 조절 단백질'의 역할에 대한 통설을 깨는 연구결과를 저명 과학저널에 발표,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의대 생리학교실 강동묵 교수는 심장 박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나트륨-칼슘 교환체'라는 세포막 단백질이 기존의 통설과 달리 좀 더 복잡한 메커니즘에 의해 심장의 전기활동과 박동수를 조절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세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최근호에 실렸다.

'나트륨-칼슘 교환체' 단백질은 심장 박동 때 근육 내 칼슘을 세포 밖으로 퍼 냄으로써 심장의 정상적 이완을 일으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강 교수는 "이 단백질은 단순히 3개의 나트륨과 1개의 칼슘을 서로 교환함으로써 심장의 칼슘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지난 30년간 믿어져 왔고 오늘날의 모든 의학 교과서도 그렇게 기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강 교수의 이번 연구결과 이 단백질이 퍼 내는 칼슘의 농도가 예상보다 적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는 "이온선택전극법이라는 연구기법으로 이 단백질을 통한 이온의 이동량을 정확히 측정해본 결과, 1개의 칼슘이 3개의 나트륨과 서로 교환되는 메커니즘 이외에 나트륨과 칼슘을 세포 내로 공동 운반해 심장 내 칼슘 농도를 높일 수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밝혀진 '나트륨-칼슘 교환체' 단백질의 새로운 작동 메커니즘으로 미뤄볼 때 이 단백질이 정상 심장의 지나친 수축 저하를 방지하고, 정상적 심장 수축력과 박동수를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강 교수는 "그동안 거대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이 단백질 억제를 통해 심장 기능에 대한 항진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번번이 실패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그동안의 실패 원인을 찾고 심장의 기능을 보다 정확히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삼성전자 부설 삼성생명과학연구소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뤄졌으며, 미국 텍사스의대 연구진이 연구에 참여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