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예측불허 ‘재난기본소득 민심’…‘꿀팁’부터 비난까지 분분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 제2차 재난기본소득 신청 첫날인 1일 경기 수원시의 한 사무실에서 직장인들이 모바일 홈페이지를 통해 재난소득을 신청하고 있다.연합뉴스

경기도 제2차 재난기본소득 신청 첫날인 1일 경기 수원시의 한 사무실에서 직장인들이 모바일 홈페이지를 통해 재난소득을 신청하고 있다.연합뉴스

1일 오전 9시부터 시작된 경기도의 ‘제2차 재난기본소득’ 온라인 신청에 경기도민이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가계에 보탬이 되는 ‘쿨팁’이 전수되는가 하면 “선심성 정책”이라는 비판도 쏟아졌다.

“처음 아니니까…” 의견 분분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신청 첫날인 1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못골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물품을 구매하고 있다. 뉴스1

경기도 2차 재난기본소득 신청 첫날인 1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못골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물품을 구매하고 있다. 뉴스1

2차 재난기본소득 지급의 주요 변수 중 하나는 경기도민들이 한 차례의 사용 경험이 있다는 점이다. 온라인 상의 반응 중에 ‘보다 계획적인 소비’를 다짐하는 목소리가 많은 이유다. 경기도 성남시에 사는 50대 주부 김모씨는 “지난해 4월 1차 지급 땐 마트에서 먹거리를 사는 데만 재난기본소득을 다 썼다”며 “이번엔 식구들 재난기본소득을 전부 모아 식탁을 사려고 한다”고 말했다. 지난 1월 아들을 출산한 주부 A씨는 “출생신고가 된 신생아도 지급 대상이라고 들었다. 육아에 필요한 용품을 사겠다”고 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2차 재난기본소득 관련 이벤트가 공유되고 있다. “섣불리 신청하지 말고 혜택을 확인하라”는 조언과 함께다. 일부 카드사는 재난기본소득을 자사 신용카드로 신청하면 백화점 상품권 5000원권 등을 제공한다.

지난달 경기도 용인의 한 맘 카페에선 경기도의 2차 지급을 놓고 찬반론이 맞붙기도 했다.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모르겠다”고 올라온 글에는 “안 주면 좋겠다. 세금은 세금대로 걷어갈 거다”라는 쪽과 “이래저래 피해가 큰데 주면 고마울 따름”이라는 쪽으로 의견이 갈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매출에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자영업자도 의견이 분분하다. 성남에서 농수산물을 파는 50대 B씨는 “지난번 지급 후 매출이 눈에 띄게 올랐다”며 “이번에도 ‘반짝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도 ‘#재난기본소득’ 관련 태그를 달며 사업장 홍보를 하는 자영업자가 생기고 있다.

반면 회원 수 65만 명이 넘는 자영업 인터넷 카페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월세나 줬으면 좋겠다” “영업제한 업종만 소비하게 하던가. 차라리 영업제한 업종을 지원하던가 하지 투표만 신경 쓰는 처사다” 등의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보편·선별 지급에 대한 이견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트위터 점령한 글 정체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20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청에서 제2차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20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청에서 제2차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지급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경기지사의 대권 가도와 연결짓는 반응도 많다. 지난달 31일 트위터에서는 재난기본소득과 관련해 이 지사를 비난하는 뜻을 담은 단어가 실시간 트렌드로 등장하기도 했다. “경기도 재정 운용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다.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는 이용자 사이에서 화제가 되는 내용을 보여주는 서비스다. 관련 단어는 1일 오후 6시 기준 4만 건 넘게 올라왔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재정자립도가 59%에 이르는 등 재정 여력이 건전한 편”이라며 “사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재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한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방역과 경제 등 여러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설 명절 전에 도민에게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는 입장이다. 이 지사는 “이번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충분하지 않겠지만, 도민 모두가 함께 치르고 있는 희생과 고통을 위로하고 희망과 용기를 드릴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채혜선·최모란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