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정부 비판한 한국계 北 전문가 정 박, 美 국무부 고위직 임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 박 미국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지명자. [브루킹스 연구소]

정 박 미국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지명자. [브루킹스 연구소]

한국계 미국인 정 박(47·한국명 박정현) 전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국 부차관보에 임명됐다.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 임명 #CIA, DNI에서 북한 정보 분석 #北 비핵화 의지에 회의적인 시각 #최근 韓 대북 정책 신랄하게 비판

박 부차관보는 26일 개인 트위터를 통해 "동아태 부차관보로 국무부에 합류했다는 걸 발표하게 돼 기쁘다"면서 "새로운 자리에서 미국인들을 위해 다시 봉사하고 국무부 동아태국이라는 드림 팀과 함께 일할 수 있게 돼 영광"이라고 밝혔다.

그의 트윗은 이날 취임한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올린 트윗을 언급하며 "블링컨 장관님 축하합니다"라고 인사하는 형식으로 작성됐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상원 본회의에서 78대 22로 인준을 통과한 뒤 취임 일성으로 트위터에 "미국 외교를 활성화해 세계에서 우리의 이익과 가치를 과거 대로가 아닌, 지금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썼다.

박 부차관보는 남·북한과 동아시아 정치·안보 이슈를 다룬 정보 전문가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중앙정보국(CIA)과 국가정보국(DNI)에서 한반도 정보 분석관으로 일했다.

DNI 동아시아 담당 국가정보 부(副)분석관, CIA 동아태 미션센터 국장 등을 역임했다. 오바마 대통령에게 전달되는 일일 정보 브리핑 수백건을 작성하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를 지원하기도 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자 사임한 뒤 2017년부터 워싱턴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 선임 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긴 뒤 동아시아정책연구센터의 한국석좌에 올랐다.

지난해 초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분석한 책 『비커밍 김정은: 북한의 수수께끼 같은 젊은 독재자에 대한 전직 CIA 분석관의 통찰 (Becoming Kim Jong Un)』을 펴냈다.

바이든 대통령 당선 후에는 정권 인수위원회가 꾸린 기관검토팀 정보분과 인수위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에서 '친정'인 DNI나 CIA로 복귀하거나 국무부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고위직에 합류할 가능성이 거론돼 왔다.

박 부차관보는 북한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에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비롯해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한 북핵 협상과 대북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지난 22일에는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 신분으로 쓴 기고문에서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의 이루지 못할 약속을 위해 국내 민주주의를 훼손시키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 민주주의에 드리운 북한의 긴 그림자’라는 제목의 이 기고문에서 한국의 대북전단금지법을 언급하며 문 대통령이 "남북 화해라는 아직 이루지 못한 짝사랑 같은 약속(unrequited promise)"을 위해 북한과의 화해를 최우선 과제로 삼으면서 국민의 자유를 선택적으로 억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문 정부 외교정책을 "하향식, 개인에 의존한 외교정책”이라고 지칭하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재검토나 지소미아(GSOMIA·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탈퇴 위협 등은 한국 정책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박 부차관보는 뉴욕 퀸즈에서 성장했다. 뉴욕에 있는 콜게이트대학을 졸업한 뒤 컬럼비아대에서 미국 역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직에 입문하기 전에는 맨해튼에 있는 헌터칼리지에서 미국 역사를 가르쳤다. 2003~2004년에는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으로 연세대에서 연수했다.

2011년 뉴욕타임스에 게재된 박 부차관보 결혼 기사는 그를 "맨해튼에서 자신의 이름을 상호로 내건 양복점을 운영하는 아버지의 딸"이라고 소개했다. 콜게이트대학 동창인 남편은 결혼 당시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글로벌 투자 리서치 부문 부사장이었다.

국무부 동아태국은 한·중·일과 북한, 호주·뉴질랜드, 동남아까지 담당한다. 동아태 차관보 대행은 성 김 전 주한 미국대사가 맡고 있어 바이든 행정부 들어 한국계가 약진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hy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