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디즈니랜드도 울상인데 중국에선 왜 테마파크 난리일까

중앙일보

입력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를 덮친 지난해는 테마파크 업계에도 혹한기였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테마파크로 불리는 디즈니랜드조차 버티기 힘들었다.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한 월트디즈니 측은 디즈니랜드 사업 부문을 크게 축소하고 직원 3만 여명을 올 상반기까지 해고하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만큼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하이난에 들어설 헬로키티 테마파크 조감도 [사진 SCMP 홈페이지] ?

하이난에 들어설 헬로키티 테마파크 조감도 [사진 SCMP 홈페이지] ?

물론 중국에서도 지난해 상반기에는 테마파크 업체들이 큰 손해를 봤다. 하지만 최근 풍경은 다르다. 기존 테마파크에 사람들이 몰리는 것은 물론 곳곳에서 새로운 놀이공원 개장 소식이 들려온다.

베이징에선 오는 5월 유니버셜스튜디오가 문을 연다. 지난 2014년 착공한 지 7년 만이다. ‘원조’인 미국의 유니버셜스튜디오보다 훨씬 더 큰 규모로 개장하게 된다. 세계 최대의 놀이공원 업체인 ‘식스 플래그스(Six Flags)’와 레고랜드 등도 중국 여러 도시에서 개장을 준비 중이다. 최근엔 ‘가상현실 테마파크’까지 문을 열었다.

‘중국의 하와이’로 불리는 하이난에는 헬로키티를 테마로 한 놀이공원이 들어설 예정이다. 2024년 개장이 목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헬로키티 테마파크는 일자리 3000~4000개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연간 관광객 약 200만 명을 끌어모을 것”이라 보도했다.

상하이 디즈니랜드 [사진 위키피디아]

상하이 디즈니랜드 [사진 위키피디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24년까지 중국에는 놀이공원 최대 60개가 더 들어설 예정”이라고 전한다.

중국에서 테마파크 붐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 이유는 무얼까.

가족이 함께 보낼 수 있는 여가 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란 것이 외신들의 분석이다. 애니메이션 산업이 발전하며 테마파크 수요를 자극한 점도 한몫했다. 애니메이션과 캐릭터, 놀이공원은 연관이 깊어서다. 또 자녀를 위해 돈을 아끼지 않는 ‘친자소비’ 트렌드도 주효했다.

홍콩의 한 테마파크 [사진 셔터스톡]

홍콩의 한 테마파크 [사진 셔터스톡]

지금은 다시 확진자가 늘고 있지만, 지난해 여름과 가을 코로나19 팬데믹을 어느 정도 통제한 당시 중국에서 ‘국내 여행 붐’이 인 점을 주목해야 한다. 해외로 나갈 수 없는 이들이 중국 내 놀이공원으로 향한 것이다. 하이난에 들어설 ‘헬로키티 테마파크’ 역시 방문객의 90%가 중국 본토인일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중국 정부도 적극적이다. 테마파크 개발은 그 지역 발전을 촉진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때문이다. ‘내수 진작’이란 목표에도 부합한다. 중국 놀이공원 시장 규모가 2019년 기준 3000억 위안(약 50조 8000억 원)에 달할 정도로 성장한 이유다.

환러구베이징 [사진 공식 홈페이지]

환러구베이징 [사진 공식 홈페이지]

그러나 중국의 테마파크 시장은 점점 레드오션이 되어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WSJ에 따르면 중국에서 작은 유원지를 제외한 대규모 테마파크는 160여 개 정도로 추산된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3배나 늘어난 수치지만 이중 이익을 내는 곳은 3분의 1에 불과하다.

또 백신이 보급돼 코로나19가 종식되면 중국인들이 해외여행을 다시 시작해 중국 내 테마파크들은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상하이나 홍콩처럼 유명 대도시의 테마파크를 제외한 중소도시의 놀이공원들이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란 얘기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