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감염병 시대…도심집중 서울, 10분 생활권으로 쪼개는 게 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서왕진 서울연구원장이 21일 중구의 한 세미나실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서왕진 서울연구원장이 21일 중구의 한 세미나실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 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도시의 일상을 바꿔놨다. 시민의 행동반경이 달라지고 새로운 도시 취약계층이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사회 혁신이 앞당겨지고 세계에 K-방역을 알렸지만 한편에선 양극화가 심해지고 통제가 과하다는 불만도 없지 않다.

서왕진 서울연구원장 인터뷰 #대도시, 감염병 시대에 취약 #3도심 7광역 체제 더 나누고 #자족성·주거 근접 SOC 강화

전문가들은 코로나가 끝나더라도 또 다른 감염병 등 새로운 유형의 재난이 일상화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뉴노멀 시대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 도시의 기능에 천착하고 있는 서왕진 서울연구원장을 21일 서울 중구 한 세미나실에서 만났다.

감염병 확산으로 도시민의 생활이 어떻게 달라졌나.
“서울연구원이 지난 9월 서울시민 8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해보니 일·생활을 비대면으로 전면 전환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60%, 보통 수준 전환이 24%였다. 코로나19 사태 전 그대로 살고 있다는 응답자는 16%에 불과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의 90%가량이 비대면 교육을 받고 있다고 답해 코로나19가 종식되더라도 이 흐름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외출 시 마스크 착용률은 95%, 기침예절 준수율은 70%가 넘어 감염병 위험을 크게 인식하게 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가 끝이 아니라면 도시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
“일·공부·여가 모두 ‘집’에서 하게 되면서 집의 면적, 공간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해졌다. 최소 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고시원·쪽방·비닐하우스, 공공임대주택 중 너무 협소한 곳에 사는 사람들의 주거기준을 높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또 거주지 주변에 공원·문화공간 등을 공공이 제공해야 한다.”
서울시는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서울시는 이미 1도심 5부도심에서 3도심 7광역으로 도시구조를 바꿨지만 더 쪼개야 한다. 생활권에서 자족성 확보, 직장·주거 근접으로 전환이 핵심이다. 가령 걸어서 10분 안에 공원·도서관 등에 갈 수 있게 생활SOC(사회간접자본)를 확보해야 한다. 자전거·퍼스널 모빌리티 대중화로 10분 동안 이동할 수 있는 반경이 넓어지면서 공간 제한의 한계도 벗어나게 됐다. 파리·멜버른 등 세계 여러 도시가 ‘작은 도시’로 변화하고 있다.”
10분 동네생활 SOC

10분 동네생활 SOC

하지만 집 구하기가 어렵다.
“공공이 나서 집의 역할을 나눠줄 수 있다. 주거지 가까운 곳에 저렴한 공유오피스를 공급하거나 공공시설을 개방해 아이들 교육 장소로 쓰는 방식 등이다.”
앞으로 도시가 신경써야 할 취약계층은 어디인가.
“기존에는 노인·장애인·저소득층 등에 머물렀지만 이제 임시직·일용직·파견직 같은 불안정한 노동자, 보호받지 못하는 여성, 자영업자, 플랫폼 노동자까지 포용해야 한다. 고용 중심에서 소득 중심의 사회보험 시스템으로 재편해야 한다.”
방역 위한 통제가 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일상생활 셧다운을 최소화하면서 감염 확산을 제어했다. 불가피한 제한이라고 본다. 잠시멈춤 캠페인, 드라이브·워킹 스루 진단검사 등 세계 방역모델을 선도했고 서울이 테스트 베드였다. K-방역이 세계에서 인정받은 배경에는 시민의 동의와 참여, 성숙한 민주주의와 책임감이 있었다.”

지난 28년 동안 서울시 정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해온 서울연구원은 올해 초 포스트코로나연구센터를 구성하고 뉴노멀시대 서울의 비전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27일에는 온라인 중계를 중심으로 한 ‘감염병 시대, 도시의 운명과 서울의 미래’ 세미나를 열어 다양한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들었다.

최은경 기자 choi.eu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