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보이스피싱 더이상 당하지 말자···범행수법 총정리한 대전지검

중앙일보

입력

“대전지검 박ㅇㅇ 검사입니다. 당신 명의 계좌가 범행에 사용된 것으로 나와 피해자 50명이 고소한 상태입니다. 일단 계좌에 있는 돈을 모두 저희 대전지검이 관리하는 계좌로 이체하세요.”

대전지검이 제시한 보이스 피싱 피해 사례. [연합뉴스]

대전지검이 제시한 보이스 피싱 피해 사례. [연합뉴스]

 최근 대전지검이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 피해 사례를 대화형식으로 제시한 사례다. 대전지검은 26일 “검사 등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조직원의 연락을 받은 후 신속히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싶은 국민을 위해 보이스피싱 사례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홍보에 나섰다”고 밝혔다.

대전지검,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온라인 홍보 #검찰 "공공기관은 출금 요구하지 않으니 주의"

 대전지검은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해마다 늘고 있고 수법도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며 “검찰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해 피해를 줄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검찰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225억원으로, 2017년(103억원)의 2배를 넘어섰다. 2018년은 150억원 정도로 1년 전보다 47억원가량 늘었다. 전국의 경우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 동안 총 22만691명이 보이스피싱 피해를 봤다.

 대전지검 김명수 인권감독관은 “경제 사정이 나빠지는데 범죄는 지능화하면서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늘고 있다"며 "특히 추석 명절을 앞두고 피해자가 더 많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대출금 수거 업무로 위장한 보이스피싱 범죄 관여 속임수 예시. [연합뉴스]

대출금 수거 업무로 위장한 보이스피싱 범죄 관여 속임수 예시. [연합뉴스]

 이에 검찰은 소셜미디어(SNS) 대화 형태로 구성한 ‘보이스피싱 사례 소개 안내 페이지’를 대전지검 홈페이지(www.spo.go.kr/site/daejeon/main.do)에 개설했다. 대전지검 홈페이지에서 팝업창이 나오도록 한 뒤 사례 소개를 안내하는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했다. 이 사이트는 스마트폰에서도 접속해 살펴볼 수 있다.

 검찰이 공개한 구체적인 범행 수법으로는 검사를 사칭해 돈을 이체하도록 요구하거나, 자녀인 척 문자 메시지를 보내 상품권 일련번호를 보내 달라는 ‘상품권 깡(할인판매)’ 악용 사례가 많았다. 예를 들어 “엄마, 엄마!!! 나 지금 핸드폰이 고장 나서 그런데, 10만 원짜리 문화상품권 10장만 사서, 상품권 번호 좀 빨리 보내줘!. 문화상품권을 현금처럼 받아서 바꿔줄 수 있대” 같은 내용의 문자를 발송하기도 한다.

 대출 관련 보이스피싱도 상당수다. “바이바이은행 대출 전문가 전ㅇㅇ실장입니다. 최대 5천만원, 금리 최저 연 2.5%!!” “정부 지원금 3천만원까지 대출해 드립니다’ 등의 문자를 보내는 방식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금융 및 통신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시연회에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은성수 금융위원장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금융 및 통신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시연회에서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뉴스1

 검찰에 따르면 뜻하지 않게 보이스피싱 범죄에 관여하게 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대출을 받으려면 거래 실적을 늘려야 하니 돈을 받은 후 인출해 전달해 달라”는 말에 속아 보이스피싱 범죄 수익을 제3자에게 넘기는 유형이 대표적이다. “휴대폰을 개통하면 돈을 준다”는 방식으로 돈을 요구하거나 대출금 수거 업무 아르바이트로 위장한 보이스피싱 조직 현금 수거 범행 역시 심심찮게 발생한다고 검찰은 설명했다.

 이밖에 조건만남 대가로 선입금을 한 피해자를 만나지 않은 뒤 “환불받고 싶으면 추가로 돈을 이체하라”는 경우도 있다.

 검찰은 “검찰·경찰·금감원 등 공공기관은 계좌이체나 출금을 요구하는 일이 절대로 없다”며 “가족·지인을 사칭해 메시지로 돈을 요구하면 직접 통화, 대면 등을 통해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