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쇼크' 6개월…코스피 65%·코스닥 107% 올랐다

중앙일보

입력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쇼크'에 빠졌던 코스피 지수가 6개월 만에 65% 이상 상승하며 회복에 성공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7개가 6개월간 100% 넘는 상승률을 보여 몸집을 두배로 불렸다.

지난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6.23포인트(0.26%) 오른 2412.40을 나타내고 있다. 뉴스1

지난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지수가 전 거래일 대비 6.23포인트(0.26%) 오른 2412.40을 나타내고 있다. 뉴스1

'코로나 쇼크' 그날…10년 전 돌아간 코스피

지난 3월 19일, 국내 증시는 '코로나 쇼크'에 빠졌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감염병 대유행)'으로 선언한 지 일주일 만인 이날 코스피지수는 8.39% 폭락한 1457.64로 마감했다. 2009년 7월 17일(1440.10)이후 약 10년 8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주가가 오른 종목은 11개에 불과했던 반면, 내린 종목은 896개에 달했다.

지난 7월 21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마스크를 쓴 남성이 의료진을 그린 벽화 앞을 걷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 7월 21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마스크를 쓴 남성이 의료진을 그린 벽화 앞을 걷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날 코스닥 지수 역시 1996년 개장 이래 역대 최고치인 11.71%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428.35로 마감했다. 이날 종가는 2011년 10월 5일(421.18) 이후 8년 5개월여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날엔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서 동시에 거래가 20분간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는 등 증시 전체가 쇼크에 빠졌다.

코스피, G20서 2번째로 크게 회복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현재 국내 증시는 성공적으로 회복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코스피 지수는 6개월 전인 3월 19일보다 65.5%(954.76포인트) 상승한 2412.4로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는 6개월 전보다 107.5%(460.53포인트) 상승한 888.88로 마감했다.

G20 대표지수 저점 대비 등락률. 한국거래소

G20 대표지수 저점 대비 등락률. 한국거래소

이는 비슷한 기간 주요 20개국(G20) 대표 증시의 저점 대비 상승세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이다. 코스피 지수의 저점 대비 상승률은 G20 대표 증시 가운데 아르헨티나 MERVAL 지수(87.82%)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저점 대비 상승률을 보였다.

미국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48.36%)·다우존스(48.76%)·나스닥(57.32%) 등 지수의 저점 대비 상승률은 국내 증시에 한참 못미쳤다. 일본 니케이225(41.13%), 중국 상하이종합(25.49%), 러시아 RTS(47.63%) 등 주변국 증시도 마찬가지였다. 독일 DAX(55.37%), 브라질 보베스파(54.62%)가 비교적 선방했으나 역시 국내 증시엔 못 미쳤다.

시총 톱10 중 7종목 100% 넘게 상승

국내 증시의 상승세를 이끈 건 'BBIG'로 불리는 바이오(B)·배터리(B)·인터넷(I)·게임(G) 주였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상당수가 BBIG로 구성된 가운데, 그 중 7개 종목의 지난 6개월 상승률이 100%를 넘었다. 이들 종목의 몸집이 배로 불어난 셈이다.

국내 증시 시총 상위 10개 종목 변화 추이. 한국거래소

국내 증시 시총 상위 10개 종목 변화 추이. 한국거래소

바이오주인 삼성바이오로직스(107%)와 셀트리온(119%)이 6개월 동안 100% 이상의 주가 상승률을 보였다. 배터리주로 분류되는 LG화학(189%), 삼성SDI(147%)도 몸집을 두배로 불렸으며, 현대차 또한 수소전기차 기대감을 타고 174% 상승률을 보였다. 인터넷 대표주인 네이버(106%)와 카카오(182%) 역시 같은 기간 100% 넘게 성장했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19년 대비 2020년 경제성장률의 하락폭이 작을수록, 주식시장에서 IT섹터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유동성이 풍부할수록 (증시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복됐다"며 "한국 주식시장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이 세 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