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남·북 아파트값 격차 더 벌어졌다…3년 새 3.3㎡당 829만원→1256만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3년3개월 동안 서울 한강 이남과 이북 지역의 아파트값 격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자료를 바탕으로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16일 분석한 결과다. 지난달 서울 한강 이남 11개 구의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4345만3000원이었다. 같은 달 한강 이북 14개 구의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3088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두 지역 간 집값 차이는 1256만7000원이었다.

강남 3.3㎡당 4345만 강북 3088만원 #문 정부 들어 불균형 더 심화돼 #3년 만에 서울 아파트값 46% 올라 #정부 “강남 개발 이익 강북에 쓸 것”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강남·강북 집값 격차 51%.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문재인 정부 출범이후 강남·강북 집값 격차 51%.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서울 한강 이남과 이북의 집값 차이는 최근 3년3개월 동안 51% 커졌다. 현 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 5월 한강 이남 지역의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2703만4000원이었다. 같은 달 한강 이북(1873만6000원)보다 829만8000원 비쌌다. 현 정부는 23차례에 걸쳐 부동산 대책을 내놨지만 서울 한강 이남과 이북의 집값 격차는 1000만원 이상으로 벌어졌다. 다만 올해 들어선 한강 이남과 이북의 아파트값 차이가 다소 줄었다. 올해 초 두 지역의 아파트값 차이는 1272만9000원이었다.

이런 가운데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3.3㎡당 1억원이 넘는 단지는 지난 14일 기준 52곳(국토교통부 실거래가)으로 집계됐다. 이 중 성동구 성수동의 트리마제와 용산구 한남동의 한남더힐을 제외한 50곳은 강남 3개 구(강남·서초·송파구)에 몰려 있다.

관련기사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1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의 실거래 가격지수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지난 5월까지 45.5% 상승했다. 한국감정원의 실거래가 통계를 바탕으로 하나금융연구소가 분석한 결과다. 무주택자가 수도권에서 생애 첫 ‘내 집 마련’에 성공하기는 더 힘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도의 부동산 거래에서 무주택자가 매수한 비율은 2013년 41%에서 올해 상반기 31%로 10%포인트 하락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기존 주택 보유자는 ‘주택 갈아타기’를 하거나 추가로 집을 샀지만 무주택자는 주택 매수를 보류하거나 포기하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젊은 층이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로 집을 사는 ‘패닉 바잉’(공포에 의한 매수) 현상도 뚜렷했다. 서울에서 아파트 같은 집합건물을 산 사람 중 30대의 비중은 28%를 기록했다. 최근 3년간 4%포인트 증가했다. 김기태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서울 뉴타운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최고 340대 1에 달한다. 청약 당첨을 통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자 대출을 받아서라도 집을 사겠다는 현상이 확산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서울 강남권에서 개발이익을 공공기여금으로 거둬들인 뒤 이 돈을 강북권 개발에 쓸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지역 간 격차 해소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게 상당수 부동산시장 전문가의 시각이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강남은 교통·교육·주거환경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대기 수요가 많기 때문에 집값이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출퇴근 대중교통 데이터를 보면 서울뿐 아니라 경기도에서도 서울 강남 쪽으로 사람들이 몰린다”며 “강남은 집값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고용 중심지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염지현·성지원 기자 y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