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위, 콜레라 확산 질타

중앙일보

입력

10일 보건복지위에선 최근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콜레라 문제를 놓고 여야 의원들이 일제히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후진국형 질병인 콜레라가 창궐하는 것은 국제망신" 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당 김성순(金聖順)의원은 "1991년 이후 10년 만에 다시 콜레라 환자가 1백명을 넘어섰다" 면서 "보건당국의 안이한 대처로 발병 진원지인 경북 영천시의 한 식당에 무려 2천여명이나 다녀간 뒤에야 콜레라 발생을 확인했다" 고 지적했다.

같은 당 최영희(崔榮熙)의원은 "복지부에선 지난해 국내 콜레라 환자가 한명도 없었다는데 지난해부터 지난 6월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여청구 기록에 콜레라 치료 진료비 청구가 2백3건이나 나온 이유가 뭐냐" 고 따졌다.

한나라당 김홍신(金洪信)의원은 "지난달 25일 영덕에서 첫 콜레라 환자가 병원에 갔지만 병원에서 단순한 설사환자로 취급하는 바람에 보건소에 신고가 나흘간 늦어졌다" 며 "만약 당시 즉각 신고가 이뤄졌다면 콜레라 환자의 70%는 예방할 수 있었을 것" 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박시균(朴是均)의원은 "올해 5월 두 차례에 걸쳐 인천공항검역소에서 콜레라균이 발견됐는 데도 보건당국이 이를 쉬쉬했다" 고 말했다.

전염병에 대한 국가관리체계를 강화하라는 주문도 잇따랐다. 김성순 의원은 "일선 의료기관 중 일부를 전염병관리센터로 지정해 관련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해야 한다" 고 말했고, 김원길(金元吉)복지부장관은 "문제의 음식점을 이용한 사람 중 5~10%가 환자로 확인될 가능성이 있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