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에서 TV 가장 많이 보는 남자 정덕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대중문화평론가 정덕현은 ‘대한민국에서 TV를 가장 많이 보는 사람’으로 정평이 나 있다. 사진은 정 평론가가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보고 있는 모습.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대중문화평론가 정덕현은 ‘대한민국에서 TV를 가장 많이 보는 사람’으로 정평이 나 있다. 사진은 정 평론가가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을 보고 있는 모습.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대한민국에서 드라마를 가장 많이 보는 사람”은 누굴까. ‘사랑의 불시착’의 박지은 작가는 정덕현(51) 대중문화평론가를 꼽았다.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이우정 작가는 그를 두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콘텐츠를 사랑하는 평론가”로 칭하고, ‘동백꽃 필 무렵’의 임상춘 작가는 그의 글을 “지친 날 동아줄이 되어 주는 글”이라 평했다. “정답 없는 드라마 속 세상에서 가끔 정답을 찾아주고 선의·위로·용기 같은 뱃심을 충전케 해준다”는 이유다.

20년간 하루 5시간씩 보고 관람평 #대중문화평론가로 드라마 에세이 내 #“깐깐한 한국대중 덕에 K드라마 발전”

드라마 속 대사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팔 때가 있다

드라마 속 대사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팔 때가 있다

실제 그의 생활은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 각종 드라마와 예능을 ‘본방사수’하고 오전엔 그에 관한 글을 쓰고, 오후에는 전날 놓친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시간으로 채워진다. 10일 발간된 에세이 『드라마 속 대사 한마디가 가슴을 후벼팔 때가 있다』(사진)는 그렇게 그의 마음을 흔든 드라마 42편에 관한 기록이다.

정 평론가는 “사람들이 아침에 만나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가 전날 본 TV 프로그램”이라며 “듣다 보면 다 자신의 이야기가 들어있다. 결국은 드라마에 빗대 본인 얘기를 하고 싶은 것”이라고 했다. 그 역시 엑스트라로 정해진 설정값을 바꾸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어쩌다 발견한 하루’를 보고 사이버 가수 아담을 대신해 홍보팀장으로서 인터뷰에 임하던 과거를 떠올리고, ‘낭만닥터 김사부’를 보며 의학잡지 편집장 시절 인체 장기에 관한 기사를 쓰고 의사들 글을 대필하던 시절을 투영한다.

그가 평론에 뛰어든 사연도 등장한다. 소설가를 꿈꾸며 ‘굶는과’(연세대 국문과)에 진학해 시나리오 학원에서 아내를 만나 굶어 죽을 수는 없어서 주류회사 홍보팀 사보 기자로 첫발을 내딛게 됐다. “글로 돈이 되는 일은 뭐든 했어요. 출판사 외주기획도, 대필작가도, 만화 대본 쓰고도 했죠. 그러다 친구가 대중문화 사이트를 만든다고 글 좀 써달라고 하더라고요. 일주일에 한 편 쓰던 게 하루 한 편, 하루 두세 편으로 늘면서 원고나 강의 청탁이 많아졌죠.”

처음엔 기자들이 전화해 무슨 프로그램 봤냐고 물어보면 “안 봤다”고 할 수 없어 닥치는 대로 봤단다. 많이 보고 많이 쓰다 보니 제작진이 자문하기도 하고 기획사에서 교육을 부탁하기도 했다. “아이돌 그룹 멤버들의 국적이 다양해지고 K팝이 글로벌하게 인기를 끌면서 한번 문제가 생기면 국가적 분쟁이 되더라고요. 트와이스 쯔위가 방송에서 대만 국기를 흔든 것이 중국에서 논란이 되면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한 거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의 관공서 직원 대상 젠더 토크 콘서트에도 다니고. 대중문화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워낙 크잖아요.”

그는 평론을 ‘별자리’에 비유했다. “별이 하나 떠 있으면 보이지 않지만 별자리를 찾아서 이어주면 하나의 그림으로 보인다”는 것. “사람마다 해석은 다를 수 있지만 작품마다 던지는 메시지를 쫓아가다 보면 더 많은 이야기가 보이고 그것을 함께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고 했다. 평론가들이 모인 인터넷 뉴스 사이트  ‘엔터미디어’에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는 그는 최근 유튜브도 시작했다.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해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K콘텐츠랩’을 구상 중이다.

“지금 K드라마, K팝이 세계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은 제작자들이 잘 만든 것도 있지만 한국 대중의 힘이 더 크다고 봐요. 수용자의 눈높이에 맞추려 콘텐트 수준도 높아지는 거죠. 한국처럼 드라마를 보면서 인터넷 대화창에서 실시간 대화 나누는 나라가 어딨어요. 깐깐한 대중을 상대로 허투루 만들 수가 없죠. 그런 현상을 연구도 하고 컨설팅도 하고 일종의 연구소 개념이에요.”

그가 꼽는 ‘인생작’은 무엇일까. “늘 최신작으로 바뀌어요. 최근엔 임상춘 작가의 ‘동백꽃 필 무렵’이 가장 좋았고 이신화 작가의 ‘스토브리그’나 김루리 작가의 ‘하이에나’처럼 신인 작가들 작품이 참 좋더라고요. OTT 등 플랫폼 다변화로 신진 세력이 부상하는 느낌이에요. 집단 창작 체제도 자리 잡고 있고요. 협업 방식인 거죠. 저도 도전해 보고 싶어요. 소설도 진전이 없어서 언제 쓸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우린 다 ‘미생’이잖아요. ‘완생’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믿어야죠. 그게 없다면 버틸 수 없을 테니까요.”

민경원 기자 story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